[이슈분석]각국 탄소중립 선언 배경은

Photo Image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을 앞다퉈 선언하는 것은 지구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즉 대기 중으로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상쇄할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하는 대책을 세움으로써 이산화탄소 총량을 중립 상태로 만든다는 뜻이다.

각국의 탄소중립은 산업화에 따른 기후변화 온도가 최근 100년간 1℃가 오르는 등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IPCC)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가 현재 속도로 진행되면 2030~2052년 사이에 1.5℃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1.5℃를 초과한 온도상승은 일부 생태계와 북극 및 남국 해양 빙상 손실을 포함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일으킬 것이란 예측이다.

2015년 파리협정에 따라 유엔(UN)은 각국에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와 2050년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를 올해 말까지 내놓을 것을 요청했다. 이어 우리나라 송도에서 열린 당사국 총회에서는 지구 온도 상승 1.5℃ 제한을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제시할 것을 요청했다. 평균기온을 산업시대 이전 2℃ 이하로 억제하고 나아가 1.5℃를 달성도록 각국에 참여를 촉구한 것이다.


오일영 환경부 기후전략과장은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는 한번 배출하면 100년간 대기에 존재해 한번 배출하면 누적효과가 있다”며 “미리 줄이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유엔이 각국에 2050년을 '탄소중립' 목표로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탄소중립을 실행하는 방안은 다양하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숲을 조성해 산소를 공급하거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무공해에너지인 태양열·풍력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방법 등이 있다. 탄소배출권을 돈으로 환산하여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탄소배출권을 구매하기 위해 지불한 돈은 숲과 갯벌을 조성하는 등 탄소 흡수량을 늘리는 데에 사용된다.

EU는 탄소배출과 관련 국경세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EU와 같은 조건의 탄소배출권을 사고파는 시장에 한해서는 유예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탄소배출권 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이를 참조할 가능성이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민간 기업차원에서도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해 제품을 생산하겠다고 선언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이른바 RE100 캠페인 참여 기업이다. 2014년부터 본격화해 구글, 애플, BMW 등 글로벌 기업을 포함한 세계 200여개사 동참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