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인공지능(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도기업인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미래차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2년부터 출시하는 모든 차량에 고성능 정보 처리 반도체 '엔비디아 드라이브(NVIDIA DRIVE)'를 적용한 차세대 '커넥티드 카 운영 체제(ccOS)'를 적용한다고 10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1/1354055_20201110092558_323_0001.jpg)
엔비디아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그래픽 인지 및 처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대표적 반도체 기업이다. 엔비디아의 정보처리 반도체인 '엔비디아 드라이브'는 빠른 속도로 대용량의 데이터 연산 처리가 가능해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 기능 구현을 위한 최적의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커넥티드 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발생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교통정보는 물론 공사구간 ·뉴스·음악·날씨·스포츠 등 외부의 정보와 연계해 차량 탑승자에게 최적화된 운전 경험을 제공한다. 이 때 대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정보처리 반도체가 필수적이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와 지난 2015년 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하고 커넥티드 카 기술을 양산차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올해 출시한 제네시스 'GV80', 'G80'에 엔비디아 드라이브를 적용한 커넥티드카 운영 체제(ccOS)를 최초로 탑재, 고급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협약으로 현대차그룹은 2022년부터 출시하는 현대·기아·제네시스 브랜드의 모든 차량에 AI을 기반으로 한 커넥티드카 운영 체제(ccOS)를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이 자체 개발한 차세대 커넥티드 카 운영 체제(ccOS)는 △딥러닝과 같은 데이터 분석 기술을 지원하는 '고성능 컴퓨팅' △차량과 주변 인프라를 원활하게 연결하는 '심리스 컴퓨팅' ▷운전자의 의도와 상태를 파악하는 '지능형 컴퓨팅' △차량 내·외부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해 차량 안전을 강화하는 '보안 컴퓨팅' 등 커넥티드카 컴퓨팅 시스템의 4가지 핵심 역량을 갖췄다.
현대차그룹은 고객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항상 최신의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출시 예정인 차량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클러스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통합한 커넥티드 카 정보 표시 시스템인 '디지털 통합 칵핏'을 적용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 중이다. 이 칵핏은 커넥티드 카 솔루션 기술을 기반으로 주행 중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생생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한다.
추교웅 현대·기아차 전자담당 전무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현대·기아차를 선택한 모든 고객에게 차세대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차량 구매부터 이용까지 모든 과정에서 안전하고 즐거운 주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