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수소경제 정책을 대대적으로 보완한다. 액화수소와 그린수소 관련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수소 연구개발(R&D)을 위한 범부처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도 대응한다.
8일 정부와 관련 기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는 내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1월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주년을 맞아 정책을 보완하는 차원이다. 특히 '액화수소'와 '그린수소' 관련 정책을 구체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소경제 로드맵을 만들면서 놓쳤던 부분을 (수소경제 로드맵 2.0에) 넣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액화수소는 수소경제가 확대되면 중요성이 커지는 분야다.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기체수소에 비해 저장효율이 뛰어나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도 독일 린데, 미국 에어 프로덕츠 앤 케미칼스, 프랑스 에어리퀴드 등 소수 기업만이 액화수소 충전 기술을 보유했다.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르면 2023년 울산에 연간 1만3000톤, 창원에 연간 2000톤 규모 액화수소 충전소가 구축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국산 액화수소 기술 개발 등 구체적인 실행전략이 마련될 전망이다.
그린수소 육성 방안도 세부적으로 마련한다. 그린수소를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내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내후년에 시행될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 제도에서 REC 가중치를 두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그린수소는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 부생수소나 추출수소 같이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그레이수소'와 달리 친환경 수소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내년 수소 기술개발 관련 범부처 R&D 정책과 수소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비롯한 다수 예비타당성 조사에도 대응한다.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소산업 R&D에 2022년부터 2030년까지 2조원대 예산을 투입하는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지만 기술성평가에서 탈락한 바 있다. 내년에는 이를 보완해 R&D 정책을 재수립하고 다시 예타를 신청한다. 또 수소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대응 여부 등을 두고 기획재정부와 협의한다. 이와 함께 수소 관련 전문가를 확보하기 위해 정례적으로 수소포럼을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정부가 수소경제 확장을 위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연료전지 발전 확산 등 급격한 정책 추진으로 인한 부작용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에너지업계 전문가는 “출력 조절이 힘든 연료전지가 전력계통에 들어오면 부하추정이 힘들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면서 “이 같은 문제에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