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 5대 산업특화 창업 거점으로 탈바꿈

전국 19개센터새성과지표수립
ICT·AI·제조 등 중점산업 구분
권역별 기업·대학·지자체 연계
창업기업 발굴, 집중 육성 나서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가 지역에 특화된 산업 창업 거점으로 변모한다. 중점 산업을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제조·스타트업 융합, 제조혁신, 농식품 등 5대 분야로 구분한다. 권역별 생태계 참여 기업, 대학·지방자치단체 등과의 연계를 확대해 지역에 특화된 창업기업을 발굴·육성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다만 대기업 지원금 감소, 대기업과의 성장 연계 확대 등은 여전히 혁신센터가 풀어야 할 숙제다. 지역 차원의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 정책과 지자체의 적극 지원이 시급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혁신센터의 권역별 특화산업 중소기업 육성을 핵심으로 하는 성과지표를 새롭게 수립했다. 올해부터 전국 19개 혁신센터에 대한 평가가 새 지표에 따라 이뤄진다. 성과지표 재편과 함께 혁신센터 특화 산업을 크게 ICT(경기·대전), AI(광주), 제조·스타트업 융합(대구·경북), 제조혁신(부산·울산·경남), 농식품(전북) 5개 분야로 구분했다. 지역 스타트업과 지역 특화산업을 연계,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혁신센터와 전담 대기업, 파트너 기업 등과 연계한 협력사업도 특화 산업에 맞춰 진행된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연계된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판로 개척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이 속속 추진될 예정이다. 중장기 차원에서는 각 산업에 집중하는 혁신센터에 투자와 창업보육센터(BI), 메이커스페이스 등 창업 허브 기능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미 19개 혁신센터 가운데 3개를 제외한 나머지 혁신센터는 창업기획자로 등록을 마치고 자체 투자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혁신센터는 주요 대기업 지원금 중심의 단기 과제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 중기부는 향후 지역 특화산업을 강화하면서 각 지역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혁신센터가 중기부로 이관되던 시점 전후로 정부와 민간 지원이 감소한 것도 감안한 조치로 해석된다.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중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까지만 해도 435억원에 이르던 국비 지원은 2018년부터 370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내년도 예산 역시 지난해 예산 대비 감소하는 쪽으로 기본 안이 잡혔다. 대기업 기부금은 더 큰 폭으로 줄고 있다. 2015년 327억원을 정점으로 2019년에는 52억원까지 줄었다. 대기업 기부금이 전혀 나오지 않는 혁신센터도 여럿이다.

중기부에서는 17일 “대기업 기여가 감소했지만 정부와 지자체 예산은 크게 줄지 않았다”면서 “다양한 지역 생태계 구성원이 참여하면서 민간 중심으로 혁신센터 역할을 잡아가겠다”고 말했다. 혁신센터 관계자는 “대도시뿐만 아니라 시·군 등 기초 단체 차원에서도 창업 자원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혁신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적극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혁신센터 방향 전환과 함께 정부·지자체의 관심도를 높이고 참여 대기업 역할을 제대로 복원하는 것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