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 "OECD 4.4%p 줄었는데 한국은 0.9%p 늘어"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이 상승한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OECD 국가 청년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OECD 평균 15~29세 청년실업률이 4.4%포인트(p) 감소하는 동안 한국은 0.9%p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Photo Image

OECD 37개국 가운데 청년실업률이 증가한 국가는 6개국으로, 한국보다 실업률 증가 폭이 큰 국가는 재정위기를 겪은 그리스, 이탈리아뿐이다. 한국 청년실업률 순위는 OECD 37개국 중 2009년 5위였으나 2019년 20위로 15계단이나 떨어지며 중위권 이하로 밀려났다.

OECD 평균 청년실업률이 2009년 14.9%에서 2019년 10.5%로 4.4%p 개선되는 동안 한국은 8.0%에서 8.9%로 0.9%p 악화됐다. 반면 미국 8.1%p(14.5%→6.4%), 영국 6.5%p(14.4%→7.9%), 독일 5.3%p(10.2%→4.9%), 스웨덴 4.5%p(18.2%→13.7%), 일본 4.4%p(8.0%→3.6%) 등으로 주요국은 모두 낮아졌다.

한국과 함께 청년실업률이 증가한 국가는 OECD 37개국 중 6개 국가다. 증감 폭은 그리스 10.1%p, 이탈리아 4.0%p, 한국 0.9%p, 터키 0.6%p, 노르웨이 0.4%p, 룩셈부르크 0.1%p 순으로 나타났다.

Photo Image

한국 청년경제활동인구는 2009년 434만여명에서 2019년 433만여명으로 10년간 0.2%(약 9000명) 감소했지만, 청년실업자는 10.6%(약 3만7000명) 증가했다. OECD 국가의 평균 청년경제활동인구는 2019년 403만여명으로 10년간 3.9%(약 2만6000명) 감소했고, 청년실업자는 30.9%(약 18만8000명) 줄었다.

청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는데도 청년실업자가 증가한 국가는 OECD 37개국 중에서 한국을 포함해 이탈리아, 그리스 3개국에 불과했다. 한경연은 “통상 인구 감소 추세에서 일자리 감소 폭이 경제활동인구 감소 폭보다 클 때 실업자가 증가한다”면서 “우리나라는 청년층 인구 감소 폭보다 민간경제 위축으로 일자리가 더 크게 줄어들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청년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9년 44.2%에서 2019년 47.8%로 3.6%p 증가해 OECD 37개국 중 순위는 35위에서 34위로 1단계 올랐지만 여전히 하위권이다. 청년고용률도 2009년 40.6%에서 2019년 43.5%로 10년간 2.9%p 증가했지만, OECD 내 순위는 30위에서 32위로 2단계 떨어졌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기업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민간 활력을 제고해야 한다”면서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와 노동비용 절감 등으로 기업들의 신규채용 비용을 낮추는 것이 청년실업난 해소의 핵심이다”고 말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