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주요 국가는 앞다퉈 실감경제 정책 추진

Photo Image

미국과 유럽 등 주요 나라는 일찍부터 실감기술을 활용한 산업 혁신의 중요성을 깨닫고 다양한 실감경제 정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간한 '이머징 테크, 글로벌 동향 및 공공서비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93년 국가정보통신기반구조(NII) 사업에서 가상현실(VR)을 핵심 분야로 지목할 정도로 일찌감치 실감기술 중요성을 인지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범부처 연구개발 프레임워크인 'NITRD'를 통해 VR·AR 연구개발을 주도한다. 총무청(GSA), 국방부, 국토안전부 등 주요 기관과 부처가 실감기술 기반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중이다.

유럽은 독일과 오스트리아, 스페인, 핀란드 등 여러 국가가 혼합현실 개발을 위해 2000년대 초반 'AMIRE'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2007년에는 '범유럽 7차 기술연구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실감미디어 기술개발에 주력했다. 범유럽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2020' 프로젝트에서 VR·AR 기술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별로는 독일이 프라운호퍼 IGD 연구소를 통해 VR·AR 연구개발과 민간 기업을 지원하고 영화지원기금(DFFF)를 통해 VR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영국은 실감경제 분야 세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18년부터 2025년까지 관련 기술, 제품, 서비스 개발에 3300만 파운드(약 520억원)를 투입한다.

중국은 국가 중장기 과학과 기술발전 규획요강(2006~2020년)에 가상현실을 3대 선진 정보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일본 내각부는 2017년 6월 '과학기술혁신종합전략'을 발표하고 VR·AR를 'Society 5.0' 실현을 위한 플랫폼 기반 기술이라며 중요성을 강조했다. 총무성은 2018년 7월 발표한 '2030년 미래를 맞는 기술전략'에서 일본의 미래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의 VR·AR 기술 구현 목표를 제시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