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재택근무 확대, 디지털 전환으로 일자리 구조변화 추진해야"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여파로 원격(재택)근무 확대, 디지털 전환 등으로 노동시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일자리 구조변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박창현 과장과 고용분석팀 유민정 조사역은 '코로나19의 노동시장 수요·공급 충격 측정 및 평가' 연구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대면 서비스 업종에 집중되고 노동 수요·공급 충격의 파급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 산업별, 충격 원인별로 다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 수요 충격이 과거보다 크게 확대됐는데, 수요 충격이 누적되면 이력현상 등 구조적 문제로 악화할 수 있음을 고려해 수요 충격에 대한 노출이 큰 산업을 중심으로 노동시장 안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보고서는 ”일자리 구조변화 추진에서 야기될 수 있는 중·저숙련 일자리 소멸, 일자리-기술 미스매치(부조화) 심화 등 취약 부문의 고용악화에도 유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의 고용이 감소하는 등 노동시장의 수요·공급 충격이 과거보다 크게 확대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3~4월중 기업의 채용이 감소하고 비자발적 실업자가 양산되는 한편, 가계의 노동시장 참여도 크게 위축했다.

우리나라 전체 노동자의 월평균 총 근로시간 감소에 대한 노동수요 충격의 기여도는 올해 3~4월 중 평균 -0.53%포인트로, 2015~2019년 고용시장 부정적 충격 때의 평균치(-0.10%포인트) 보다 5.2배 높았다.

노동공급 충격의 기여도는 -1.22%포인트는 과거 평균치(-0.56%포인트)의 2.2배 높았다.

또 노동수요·공급 충격의 크기는 산업별로도 차별화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숙박음식, 예술·스포츠·여가, 교육 등 주로 대면접촉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수요·공급하는 업종에서 노동수요·공급 충격이 크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