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코로나 재확산 위기에서 산업현장 방역 대응, 업종별 상황과 애로 요인을 논의하기 위한 '긴급 실물경제 점검 비대면 영상 회의'를 개최했다. 성윤모 장관 주재로 주요 업종별 협·단체,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참여했다.
성 장관은 최근 코로나 재확산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실물경제 분야에 비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현장의 철저한 방역 △기존 지원대책 추진상황 점검 및 보완사항 발굴 △위기 극복을 위한 미래 투자 지속 등을 강조했다.
성 장관은 “'방역 없이는 경제도 없다'는 인식으로 산업현장 방역 강화를 최우선 추진하겠다”면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기존 대책의 부족한 부분을 철저히 점검하고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8/1331528_20200826224048_617_0002.jpg)
그는 K-방역 경험을 토대로 산업현장 방역과 생산차질 방지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요청했다. 기업별 상황에 맞게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조치를 강화하고 비대면 업무 문화도 정착시켜 나갈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방역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업종별 감염병 대응계획(BCP) 보급을 확산할 계획이다. 과감한 금융 및 재정지원, 수출 활력제고 대책과 함께 자동차·조선·정유·섬유 등 업종별 위기극복 대책도 시행한다.
또 경제상황 악화 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유동성 및 일자리 유지 관련 산업별 애로사항을 업종별 협회 등과 함께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한국판 뉴딜로 기업투자 마중물 역할을 적극 수행하는 한편 신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산업부는 “코로나19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실물경제 영향을 철저히 점검하겠다”면서 “산업현장 방역 상황 모니터링, 생산·인력차질 최소화, 산업단지 방역지원 등에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