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신원증명(DID)기술·표준화 포럼이 출범했다. 국내 DID 표준을 수립해 민간 DID 서비스 호환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로 설립됐다. 민간과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대거 참여해 표준화 방안에 대한 실질적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포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DID협의체'에서 표준 분과를 담당한다. 포럼 초대 의장에는 염흥렬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가 선임됐다.
포럼은 민간과 공공 분야 실무진, 학계 인사가 한 데 모여 DID 기술 표준화 방안을 마련한다. 단기적으로는 국내 민간 DID 서비스 간 연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장기적으로 국내 DID 표준을 국제표준 수준으로 확산, 격상하는 것이 포럼 방향이다.
포럼에는 30여명 업계 전문가와 실무진이 참여하고 있다. DID 개발사는 물론 학계 전문가, DID 활용기관 관계자가 고루 동참했다. 정보보호 분야 교수진과 박사급 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가 이름을 올렸다. 국내 4대 DID 연합체를 주도하는 SK텔레콤(이니셜DID연합), 라온시큐어(DID얼라이언스), 아이콘루프(마이아이디얼라이언스), 코인플러그(마이키핀얼라이언스) 관계자 역시 포함했다.
포럼은 민관합동DID협의체에서 활동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16일 협의체를 발족했다. DID 대중화를 위해 과기정통부뿐 아니라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병무청 등 13개 정부 부처·유관 기관과 4대 DID연합체가 결집했다. DID 관련 정책부터 실제 적용까지 정부가 직접 힘을 보태겠다는 의미다.
포럼 출범으로 협의체도 조직 구성을 완료됐다. 협의체는 운영, 정책, 표준 운영 분과로 운영되고 있다. 운영 분과는 금융위가, 정책 분과는 행안부가 구심점으로 활동한다. 다만 표준 분과는 출범 당시 인선이 확정되지 않았다. 외부 전문가를 초빙해 분과를 구성하겠다는 계획 때문이었다.
정부가 팔을 걷어붙인 만큼 DID 보급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협의체는 DID 보급을 위해 각 분과가 청사진을 그리는 자리다. 포럼은 표준화 방안에 집중해 정부와 민간이 의견을 공유하고 구체적 방향을 잡는다”면서 “현재 포럼 출범 직후라 의제를 준비하는 단계다. 4분기 중에는 구체적인 메시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표】분산신원증명 기술·표준화 포럼 개요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