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료방송 시장 합리적 재편과 혁신을 위해서는 2차 인수합병(M&A)이 이뤄져야 합니다. M&A가 유료방송 사업자 혁신과 가치 증진을 위한 효율적 기회가 될 것입니다.”
김정현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가 11일 미디어미래연구소 주최로 열린 '미디어리더스포럼'에서 플랫폼 사업자 2차 M&A 전망과 고려사항에 대해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미디어 산업 지속 발전을 위해 △방향성 설정 △구체적 전략 수립 △핵심 서비스 마련 △투자자본 확보 등이 필요하지만 현재 방향성과 전략 모두 부재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료방송 저가 요금 구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상파방송·방송채널사용사업자(PP)·홈쇼핑간 PP 프로그램 사용료 갈등이 격화, 방송산업 성장과 발전이 저하됐다고 진단했다.
LG유플러스와 LG헬로비전, SK브로드밴드 합병법인 등 거대 플랫폼이 탄생한 상황에서 유료방송 생태계 정상화를 위해 통신 3사와 딜라이브, CMB, 현대HCN 등 M&A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케이블TV 3사 강점으로 딜라이브는 3사 중 가장 많은 가입자, 디지털 가입자 확보로 결합상품 유도 시 이용자 저항이 적고 3사 중 가장 높은 매출을 보유했다고 평가했다.
CMB는 8VSB 상품 가입자가 대다수여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는 낮지만 잠재적 성장 가능성과 결합 수요가 높고 추가 디지털 전환 비용 절감을 강점으로 꼽았다.
현대HCN은 높은 영업이익률, 가입자 수가 적지만 ARPU가 높아 안정적 수익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교수는 “컴캐스트-NBC유니버설, AT&T-타임워너, 디즈니-21세기폭스 등 미국 M&A 사례처럼 콘텐츠 라이브러리 강화, 가입자 기반 확대, 글로벌화가 세계적 추세”라면서 “국내 플랫폼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통신 3사와 케이블TV 3사 M&A 효과로 거대 플랫폼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면 혁신 경쟁 돌입, 투자 활성화, 이용자 선택권·권리 확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플랫폼이 8VSB와 IP망을 결합, 주문형비디오(VoD)와 인터넷 결합상품 매출도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M&A 성공은 인수 대상 기업의 잠재적 미래가치를 고려, 혁신하고 서비스를 융합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달렸다”며 “합병법인이 향후 새롭게 창출할 미래수익가치에 초점을 맞춰 M&A 협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