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 기여도가 하락한 반면 소득 기여도는 상승해 수출산업 노동 생산성이 꾸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0일 발표한 '우리 수출의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구조 변화(2000~2019)'에 따르면 2000~2011년 우리나라 실질 수출 연평균 증가율은 9.1%로 나타났다. 2011~2019년은 2.5%에 불과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23%에서 2011년 36%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작년까지 35~36% 수준에서 정체 중이다.
고용 및 생산요소 소득과 일치하는 부가가치에 대한 수출 기여도에서는 명암이 엇갈렸다. 전체 취업자 대비 수출이 유발한 취업인원 비중은 2000년 12%에서 2009년 19%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하락해 작년 14%를 기록했다. 수출이 유발한 부가가치 GDP 비중은 2000년 15%, 2009년 19%, 2019년 22%로 꾸준히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컴퓨터·전자, 화학제품, 자동차, 기계 등 우리나라 대표 수출품목은 2010년 대비 2017년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모두 상승했다. 하지만 취업 유발 효과는 선박 등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하락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수출이 정체되고 고용에 대한 기여는 줄었지만 소득 기여도가 높아졌다”면서 “글로벌밸류체인(GVC) 둔화로 세계 교역이 정체된 것과 제조업 중심 우리 수출산업이 고도화 단계로 진입하면서 노동 생산성이 향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김건우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수출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국내 경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서비스 산업 경쟁력을 키우고 취업 유발 효과가 높은 스타트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