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3/1284518_20200322141118_973_0001.jpg)
북한은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방역 협력을 제안했다는 내용이라고 부연했다. 친서를 받은 구체적인 날짜를 밝히지 않았다.
북한은 양 정상의 친분과는 별개로, '스스로' '미국이 제공한 악착한 환경' 등을 강조하며 방역 협력과 북미대화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이날 오전 '미국대통령이 보내온 친서는 조미 두 수뇌분들사이의 특별한 개인적친분관계를 잘 보여주었다'는 제목의 담화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했다.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우리는 김정은국무위원장동지께 보내온 도날드 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의 친서를 받았다”며 “국무위원장동지께 변함없는 신의를 보내준 미국대통령에게 충심으로 사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는 “조미 두 나라 관계발전에 커다란 난관과 도전들이 가로놓여있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미국대통령이 또다시 친서를 보내며 우리 위원장동지와 훌륭했던 관계를 계속 유지해보려고 노력을 기울이고있는것은 좋은 판단이고 옳은 행동이라고 보며 응당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트럼프대통령은 이번 친서에서 지난번 위원장동지 탄생일에 즈음하여 보낸 자기의 축하의 인사가 위원장동지에게 정확히 전달된 소식에 기뻤다는 소감을 전하며 위원장동지 가족과 우리 인민의 안녕을 바라는 따뜻한 인사를 전해왔다”고 설명했다.
김 부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에서 북미관계 추동을 위한 자신의 구상을 설명하는 한편, 코로나19 방역에 협조할 의향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가 김 위원장과의 특별하고도 굳건한 개인적 친분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도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사의를 표했다고 덧붙였다.
하노이 북미대화 이후 남북미 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멈춰진 상황에서 코로나19 방역을 매개로 한 정상간의 친서 교환이 어떤 시너지를 낼지 주목된다.
다만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의 개인적 관계와 북미간 대립관계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김 부부장은 “조미사이의 관계와 그 발전은 두 수뇌들사이의 개인적친분관계를 놓고 서뿔리 평가해서는 안되며 그에 따라 전망하고 기대해서는 더욱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양 정상의 개인적 친분이 긍적 작용을 할 수 있지만, 북미양국의 관계발전을 견인할지는 미지수고 속단하거나 낙관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북미간 공정성과 균형이 보장되지 않고 일방적인 상황에선 관계가 악화일로에 치닫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부부장은 “개인적인 생각을 말한다면 두 수뇌들사이의 친서가 아니라 두 나라사이에 력학적으로나 도덕적으로 평형이 유지되고 공정성이 보장되여야 두 나라 관계와 그를 위한 대화에 대해서도 생각해볼수 있을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여전히 지금 이 순간도 미국이 열정적으로 '제공'해주는 악착한 환경속에서 스스로 발전하고 스스로 자기를 지키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있다”고 했다.
김 부부장은 북미 관계가 양 정상간의 관계만큼이나 좋아지길 기대하지만,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하지만 우리는 그 시간을 허무하게 잃거나 랑비하지 않을것이며 그 시간동안 두해전과도 또 다르게 변했듯 계속 스스로 변하고 스스로 강해질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부부장 명의 담화는 지난 3일 북한 화력전투훈련을 자위적 차원이라고 주장하며 이 훈련에 우려를 표명한 청와대를 비난하는 입장을 밝힌 이후 두 번째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