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을 기점으로 국내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이 본격 열릴 것입니다.”
권기영 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PD는 울산시 등이 추진하고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사업과 관련해 이 같이 전망하며, 2030년에는 고정식 풍력과 부유식 해상풍력이 경쟁하는 구도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1989년 효성에 입사한 후 15년 이상 풍력 분야에 몸담은 전문가다.
권 PD는 “내년 중 750㎾급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 과제를 마무리하고 국내 처음으로 MW급 실증단지 구축 과제에 착수할 것"이라며 “바다 위 부유체가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풍력터빈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해상풍력 사업이 활기를 얻기 위해서는 '계획입지제도'가 안정화돼야 한다고도 주문했다.
육상·해상 등 고정식 풍력은 20년이 지나면 설비를 철거해야 하지만 부유식 해상풍력은 유지보수로 사용기간을 대폭 확대할 수 있고 수십㎞ 떨어진 바다에 설치하기 때문에 공간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분명하다.
아울러 권 PD는 내년부터 풍력발전 전력변환기 국산화 작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 경쟁력 강화방안에 2022년까지 전력변환기를 비롯한 블레이드·발전기·증속기 등 4대 핵심부품을 국산화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그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풍력발전 전력변환기는 100% 스위스 ABB 제품”이라며 “전력변환기는 바람에 따라 출력 변동이 요동치기 때문에 쉽지 않은 도전적 기술”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국내기업뿐 아니라 해외기업이 국내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때 우리가 개발한 전력변환기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려면 신뢰성·내구성이 확보돼야 한다”며 “국내에서 즉시 사후서비스(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사는 해외에서 엔지니어를 불러들이는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권 PD는 내년이 국내 풍력 보급시장이 활성화하고 관련 생태계가 조성되는 의미 있는 해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공공주도로 예측가능한 대규모 풍력단지가 조성되고 지방자치단체와 제조·부품·서비스 기업, 금융권이 사업에 참여하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앞서 산업부는 내년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1110억원 늘어난 1조2470억원으로 책정하고, 신규 사업으로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개발지원(25억원) △초대형 풍력 실증기반 구축(59억원) △풍력 너셀 테스트베드 구축(6억원) 등 풍력에 집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권 PD는 “재생에너지 주민수용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장기 환경 모니터링'이 이뤄져야 한다”며 “해외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국산 데이터로 주민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국 군산에 구축 예정인 '해상풍력 산업지원센터'는 시설운영·유지보수(ONM) 인력양성 및 중요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센터 역할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