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정보화 핵심 사업을 총괄할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설립 준비를 마치고, 이르면 금주부터 업무를 시작한다. 이달 중 완료 예정인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 시범사업을 이어 받아 내년부터 본 사업으로 확장하고, 중장기 의료 정보화 전략을 수립한다.
2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재단법인 등기 등록을 마치고, 현재 직원 채용까지 마무리했다. 2~3명 추가 인력 채용이 끝나면 EMR 인증제 시범사업추진단 업무를 이어받아 보건의료 분야 첫 IT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시작한다. <본지 9월 10일자 기사 참고>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정부가 의료 정보화 핵심 과제로 진행 중인 EMR 인증제를 총괄 운영하는 기관이다. 전체 의료기관 95%가 EMR을 사용하지만 시스템이 제각각인데다 보안성까지 떨어져 진료 정보교류는 물론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제약이 심했다. 복지부는 필수 기능성, 상호운용성, 보안성 등 기준을 충족하는 시스템을 인증하는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약 1년간 심사를 거쳐 최종 인증 결과를 발표하는 심의위원회가 3일 열린다. 인증에 참여한 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국립암센터 등 병원과 비트컴퓨터, 평화이즈, 네오소프트, 이온엠솔루션, 자인컴 5개 업체 제품 인증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내부적으로는 인증 기준에 미달 시 보완 컨설팅까지 제공한 만큼 첫 인증은 참여기관·기업 모두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심의위원회 개최 후 인증 부여까지 마무리되면 EMR인증제 시범사업추진단 업무가 끝나고, 인증제 관련 업무는 보건의료정보원으로 이관된다. 현재 서울 중구 연세봉래빌딩에 사무실을 마련했다. 인가 받은 25명 인력 중 22명을 채용 완료했다. 추가 인력 채용과 원장 인선만 마무리하면 조직 구성은 완료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최종 면접을 거쳐 22명까지는 인력을 확보했으며, 내년 초 원장 인선이 이뤄질 예정”이라면서 “신설 재단법인이지만, 공기업 기준에 준하는 요건에 따라 공모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의료정보원은 당장 시범사업을 끝낸 EMR인증제를 본 사업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복지부는 내년 초까지 EMR 인증제 기준, 심사방법 등이 담긴 고시 제정안과 개발·심사 가이드라인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이 작업을 지원하는 동시에 인증제 확산을 위한 로드맵을 그려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의료 정보화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도 수립해야 한다. EMR인증제가 데이터 활용, 정보 보안 강화 등 기반을 닦는 사업이라면 이를 통해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는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의료 IT 관계자는 “의료와 IT 융합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상황에서 이를 전담할 전략 수립기관이 전무했다”면서 “보건의료정보원은 단순히 EMR 인증제 수행·운영을 넘어 보다 적극적인 의료IT 국가 과제를 발굴하고, 산업계 의견을 수렴할 역할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