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럽연합(EU) 등과 제품안전정책 협력을 모색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8일 서울 서초구 쉐라톤서울팔래스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제품안전'을 주제로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제품안전'을 주제로 최갑홍 성균관대 교수가 기조연설했다. 우리나라와 OECD, EU, 영국, 일본 대표단이 제품안전 정책과 위해도 평가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네빌 매튜 OECD 제품안전반 의장은 제품안전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에 대한 OECD 연구를 소개했다.
매튜 의장은 “사물인터넷은 조기 위험 경고가 가능하고 문제발생 시 원격 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며 “AI는 위험을 분석해 위험도를 줄이고 시장감시 강화에도 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토마스 벨 영국 제품안전표준청 과장은 영국 제품혁신과 안전을 위한 연구·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그는 AI 기술은 제품사진·설명문구 등으로 부적합 제품을 선별하거나 판매차단하는 등 제품안전에 기여하는 잠재적 가치가 크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오솔야 크소바 EU 차장과 히로시 타시로 일본 히로시 타시로 파견관은 유럽·일본의 사고 발생빈도와 소비자 피해정도를 기반으로한 위해도 평가방법과 리콜을 결정하는 사례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제품안전관리원은 발열조끼, 즉석발열식품용 발열팩 등에 대해 그간 위해도 평가연구 내용을 공유했다.
국표원은 이날 포럼에 앞서 EU·영국·호주·일본 등과 양자 실무회의를 개최했다. 국가 간 안전관리 정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각 국 위해도 평가결과, 리콜정보를 공유했다. 4차 산업혁명 흐름 속에서 융·복합, 신기술·신물질 등이 적용된 제품으로부터 제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도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박정욱 국표원 제품안전정책국장은 “신기술, 신제품 등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존의 안전관리 틀에만 안주해서는 제품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각국 안전관리 정책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고, 위해상품 차단 등 제품안전 강화를 위한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