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해·신재생 연계 수소 생산 시스템 만들고 연료전지 설비 단가 현재 25% 수준으로 뚝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2030년까지 고효율·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기술을 개발한다. 가정·건물용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핵심 소재부품을 국산화해 설치비를 현재 대비 25% 수준으로 낮춘다. '범부처 수소 R&D 협의체'를 구성, 연구개발(R&D) 효율성과 성과를 제고하는 체계를 만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 간 영상회의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안)'을 상정, 논의했다.

로드맵은 기존 계획과의 정합성을 고려해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수송수단·발전·산업), 안전·환경·인프라 각 분야 기술개발 목표를 담았다.

선진국과 초기 경쟁선상에 있는 분야는 원천기술 확보, 빠른 시장진입이 필요한 분야는 시스템 개발 및 제품 완성에 주력하는 투 트랙 전략을 제시했다. 독점성이 강하고 가격 비중이 높은 핵심 소재·부품은 국산화와 성능개량을 빠르게 추진한다.

수소 생산 관련 2025년까지 온사이트 수소충전소에 필요한 소형(300~1000N㎥/h) 천연가스 개질 시스템과 거점형 수소생산기지를 위한 중형(1000N㎥/h 이상) 천연가스 개질 시스템을 개발해 저가 수소 대량 생산기술을 확보한다.

2030년까지 고효율·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기술을 개발(시스템 효율 50㎾h/㎏-H2, 100㎿급)하고 태양광·풍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원과의 연계를 위한 기술 개발·실증을 추진한다. 수전해는 기존 부생수소 방식을 보완할 것으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저장·운송 분야에서는 기체저장·운송 기술을 고도화해 수소 운송비를 2040년까지 트레일러 운송비 기준 700원/㎏까지 떨어뜨리는 것을 핵심 목표로 잡았다. 해외에서 생산한 수소를 수입할 때 수소를 대량으로 저장·운송할 수 있는 액체수소·액상수소화물 저장·운송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기체저장·운송, 액체수소 저장·운송 분야에선 중장거리 고압 수소배관망, 튜브트레일러용 대용량 용기 저장탱크 등의 제품화에 주력하고 액상수소화물 분야에선 저에너지·고효율 수소 저장·추출 관련 신소재 개발 등과 같은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수송수단 측면에선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승용차·상용차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2030년까지 중대형 건설기계, 열차 등 육상용 수송수단과 연안선박, 대형 물류운송용 드론 등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소수 기업 의존도가 높은 촉매, 이오노머와 같은 수송용 연료전지 스택 소재, 상용차용 전장장치는 국산화, 성능개량에 투자한다.

Photo Image

상용화에 있어선 가정·건물용, 분산 발전용, 대규모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설치비와 발전단가 절감을 핵심 과제로 삼았다. 2030년까지 핵심부품 모듈화, 양산화, 시스템 효율,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해 발전용 연료전지 경제성을 확보한다.

수입 의존도가 높고 가격 비중이 높은 전극, 촉매 등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소재와 연료변환기, 기계적 구성장치 등 연료전지 주변장치는 국산화,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가정용 기준 현재 2700만원/㎾인 설치비를 2040년 600만원/㎾ 수준으로 낮춘다.

수소사고 예방, 안전성 평가를 위한 수소 소재·부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률을 10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는 '수소 전 주기 범부처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6개 부처 및 소관 연구관리전문기관으로 '범부처 수소 R&D 협의체'를 구성해 부처 R&D 추진현황 및 성과를 공유, 점검한다. 기술로드맵은 5년 주기로 재검토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소 관련 규제 개선도 속도를 낸다. 정부는 이날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복층형 수소충전소 구축을 허용하고 충전시설 간 이격거리(5m)를 없애는 등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존 규제를 완화했다. 충전소 입지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특단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수소 충전인프라 확산을 위해 △수소충전소 안전기준 합리화 △복층형 수소충전소 건설 허용 △개발제한 구역 내 수소충전소 허용범위 확대 △산업단지 내 수소충전소 허용 등 관련 시설·입지 제한 규제합리화 방안이 회의에서 통과됐다.

한편 이날 과기관계장관회의에서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R&D 테스트베드 조성 추진(안)' 안건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산업부·환경부·기상청 등 스마트시티 관련 8개 부처 간 협력을 통해 17건의 국책연구개발사업 실증을 국가시범도시 조성·입주·운영 등 개발 일정에 맞춰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