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여겨졌던 국내 면세점 업계에 '승자의 저주'가 현실화 되고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규 특허권 취득에 치열한 경쟁을 벌였지만 사업을 철수하는 업체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면세점 업계는 중국인 관광객 감소, 고객 유치를 위한 출혈 경쟁 등으로 수익 구조가 악화되고 있어 이같은 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두타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두산 29일 이사회를 열고 면세 특허권 반납을 결정했다. 영업 정지일자는 내년 4월 30일이다.
2016년 5월 개점한 두타면세점은 연 매출 7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했으나 중국인 관광객 감소, 시내면세점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낮아지고 있다.
2018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나 단일점 규모로 사업을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올해 다시 적자가 예상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두타면세점은 면세점 사업권을 취득한 후 지난 3년간 6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두산은 중장기적으로 수익성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특허권을 반납을 결정한 것이다. 이후 두산은 전자소재 등 기존 자체 사업과 신성장 사업 육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한화갤러리아는 9월 갤러리아면세점63의 영업을 종료했다. 지난 3년간 1000억원에 이르는 누적 적자가 사업 철수의 주요 원인이다. 한화는 사업권을 획득한 2015년 이후 시내 면세점수가 2배 이상 급증했고 대내외적인 변수가 발생하자 사업자간 출혈 경쟁이 시작되는 등 악재를 맞았다.
특히 중국의 사드 보복이 장기화되면서 단체관광객이 끊기며 면세점 사업은 어려움을 겪었다.
한화에 이어 두산까지 특허권을 반납하자 중소중견 업체들의 연이은 사업 철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올 상반기 국내 면세점 매출은 12조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매출의 80%를 롯데·신라·신세계 등 '빅3' 면세점이 차지하는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시내면세점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라며 “대형 면세점으로 쏠림 현상이 가속화 되고 송객수수료 부담이 늘어날 경우 연쇄 사업 철수가 벌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주현기자 jhjh13@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