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을 확산하고 스마트농업으로 빠르게 전환하기 위해 규모화와 기술혁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스마트팜 선진국 네덜란드처럼 토지에서 노동 생산성 중심으로 농업정책을 개혁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팜 전략 콘퍼런스 2019'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미래 농업이 가야할 방향에 대한 의견을 쏟아냈다. 행사는 전자신문이 주관하고,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 등이 공동 후원했다.
이주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성장정책연구본부장은 '스마트 농업의 확산과 현장착근을 위한 정책방향' 기조강연서 “스마트농업을 키우려면 식량·원예·축산으로 제한되는 협의의 농업만 볼 것이 아니고 농업 전후방산업 활성화를 통한 농업의 플러스 게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기존농가는 스마트팜을 규모화·집적화해 대규모 안정생산 기반을 확립하고 국내외 시장공략에 나서야 한다”라며 “규모화된 스마트팜을 경영할 청년농을 늘리기 위해 스마트팜 임대, 창업, 교육 지원방안도 강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농업 전후방산업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팜 콤플렉스를 조성하고 산학연 협동연구를 통한 기자재 개발도 필요하다”라며 “농업만 보면 투자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전후방산업을 동반육성할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우리나라 농업기술이 국제무대에서 절대 뒤처지는 수준이 아니고, 농가 현장에 적용 차이가 있을 뿐”이라며 “생산·유통·소비 단절에서 생기는 틈새를 스마트팜 확산을 통해 봉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호진 주한네덜란드 대사관 농무관은 '농업강국 네덜란드, 스마트팜의 비밀과 진화기술은' 주제로 기조강연했다. 네덜란드는 세계 2위 농식품 수출국이자 세계 식량안보 지수 1위인 스마트팜 우수국가다.
강 농무관은 “차별화 기술로 신규 시장 창출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세계 1~2위의 네덜란드 업체도 세계 시장 전체로 활동해야 겨우 사업이 유지되고, 생산라인이 분업화 돼있지 않은 다품종 소량 생산 라인을 유지하는 수요자 중심 사업구조를 형성했다는 설명이다.
강 농무관은 “한국이 강점을 보이는 작물에 대한 스마트팜화를 추진하고, 한국만의 정보기술(IT)로 신규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파프리카처럼 해외에서 돈 되는 작물을 단순히 따라 키우는 형태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얘기다.
스마트팜 보급 확산을 위해 정부와 민간에 필요한 것도 언급했다. 정부는 농업을 토지생산성에서 노동생산성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민간은 스마트팜도 농업인만큼 철저히 준비하고 진입할 것을 주문했다.
강 농무관은 “면적당 최대 생산성 추구하는 토지생산성에서 농가 당 최대 생산성을 추구하는 노동생산성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라며 “그래야 농가 당 면적 증가로 소득이 늘어나고 후계농 걱정이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네덜란드는 경지 정리 프로젝트를 통해 농민이 스마트팜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드는 개혁을 시행했다”라며 “부분적인 지원에 그치는 스마트팜 보급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여현 순천대 농식품 ICT융합연구센터장은 '스마트팜 국내외 표준화 동향' 기조강연에서 스마트팜 표준화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표준화는 기자재 업체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내고 농가 스마트팜 보급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하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기조강연 외에 이승기 국립농업과학원 부장의 '한국형 스마트팜의 현황과 전망', 강대현 팜에이트 부사장의 '미래형 농업, 한국에서 식물공장 시대', 김창배 솔트웨어 이사의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 등 주제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