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배터리를 사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하면서 LG화학이 배터리 충전잔량(SOC) 운영 조건을 70%로 제한하는 긴급 조치에 나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자사 배터리를 탑재한 ESS 운영업체에 SOC 운영 조건을 70%로 제한할 것을 긴급 요청하고 있다. SOC를 기존 95%에서 70%로 낮춰 운영하는 데 따른 비가동 손실 비용은 LG화학이 보상한다는 방침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최근 화재 발생 이후 안전강화 선제 조치의 일환으로 SOC 하향 조정에 들어갔다”면서 “현재 화재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안전 강화를 위한 지속 노력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자체 안전 점검 이후에도 ESS 화재가 잇따르는 데 따른 것이다. 지난 8월 30일 충남 예산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한 ESS에 화재가 발생한 데 이어 지난달 29일에도 경북 군위군 태양광 연계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예산과 군위 태양광 ESS 화재 모두 70% 낮춰 운영하던 SOC를 95%로 상향해 운영한 지 이틀 만에 발생했다. LG화학은 지난해부터 자사 배터리를 채택한 ESS 사업장에 화재가 잇따르자 SOC를 95%에서 70%로 낮춰 운영할 것을 요청했다가 정부 조사 결과 발표 이후 안전 점검을 거쳐 SOC를 순차 상향 조정해 왔다.
이에 따라 SOC 운영 조건과 화재 연관성이 제기된다. 또 태양광 연계 ESS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가중치 하향 조정을 앞두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SOC를 무리하게 운영하는 것이 국내에 ESS 화재가 집중된 원인이라는 시각도 있다.
ESS는 전력 사용량이 많은 피크 시간대에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이외 시간에 방전, REC 가중 수익을 챙기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현재로썬 SOC 하향 조정 운영이 추가 화재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이지만 손실 보상 등 문제가 얽혀 있어 제조사로서는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이다.
업계 관계자는 “SOC를 95%에서 70%로 하향 조정해서 운영하면 그만큼 수익도 줄어드는 데 이에 따른 손실을 배터리 제조사가 보상해야 하는 구조”라면서 “15년 장기 운영했을 때 손실액은 단순 계산해도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로만 수천억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월 정부가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와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한 이후에도 세 건의 화재가 추가로 발생하며 업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오는 7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분야 국정감사에서도 ESS 화재가 이슈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추가 화재 방지와 ESS 화재 근본 원인에 대한 체계적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진 상황이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