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 앞두고 ESG 관심 대두…유통사, '착한경영' 속도

Photo Image
롯데 유통사 직원들이 ESG 비전 선포식을 낭독하고 있다.

유통 대기업이 지속가능경영의 핵심요소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배구조·환경 등 비재무적 요소가 기업의 성장가치를 판단하는 새로운 척도로 자리매김하면서 이미지 제고와 투자 접근성 측면에서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지난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등급평가에서 전년 B+에서 한 단계 상승한 A등급을 받았다. 롯데는 계열사 6곳이 A등급을 받으며 우수한 성과를 냈다.

ESG는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얼마나 기여하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지 등 비재무적 관점으로 평가하는 지표다.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 도입 기관이 늘고 ESG 투자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면서 책임투자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롯데는 전사적 차원에서 ESG 개선에 주력한 성과를 냈다. 롯데쇼핑뿐 아니라 롯데푸드·하이마트도 지난해 ESG A등급에 새롭게 포함됐다. 이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지주사 체제 전환뿐 아니라, 여성 근로자 친화정책·협력사 지원 등 사회 핵심지표는 물론 환경 부문까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직접 챙긴 효과다.

신 회장은 올해 정기임원인사에서 지속성장평가지표를 인사고과에 반영하고, 국내 그룹사 최초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ESG 개선에 각별히 신경쓰고 있다.

특히 지난 7월 열린 하반기 사장단회의에서 “투자 진행시 수익성뿐 아니라 ESG 요소를 반드시 고려해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현대백화점그룹도 ESG 개선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백화점 ESG 등급은 2017년 B+에서 지난해 B이하로 하락하며 부진한 성과를 냈다. 현대그린푸드·리바트·홈쇼핑 등 계열사들도 B+이하에 머물렀다.

대신지배구조연구소도 보고서를 통해 “현대백화점그룹의 경우 양호한 지배구조에도 불구하고 환경·사회 부문 부진으로 통합 ESG 등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사회 부문의 저조한 성과는 B2C가 주된 사업인 그룹 특성상 잠재적 리스크로 작용할 우려가 있어 사전적 대응이 필요하다” 지적했다.

이에 현대백화점은 최근 성남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지역 소상공인 및 벤처기업 지원에 나서는 등 개선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역시 이마트 ESG등급이 B+에 그친데다, 신세계푸드 등급이 하락하는 등 성과가 부진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명절 납품대금 조기지급 및 여성근로자 친화 제도 강화와 더불어 텀블러 지급, 친환경 포장재 사용 등 ESG 지표를 개선할 수 있는 비재무적 성과에 주력할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도 투자 시 ESG 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데다, 사회책임투자의 관점에서 기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판단 지표로 ESG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면서 “외적 리스크에 취약한 유통업체의 경우 비재무적 요소인 ESG에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준호기자 junh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