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농업 확산의 기반이 될 '스마트팜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 표준화 로드맵'이 올해 말 나온다. 정부는 로드맵 수립과 더불어 국가표준 제정 작업을 가속화, 스마트팜 보급이 늘어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스마트팜ICT융합표준화포럼 등과 함께 올해 말 발표를 목표로 스마트팜 ICT 기자재 표준화 로드맵을 수립한다고 8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ICT 기자재 국가표준 제정 작업이 연차별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장기적으로 표준화 방향과 국가표준 제정 품목, 스마트팜 기자재 수출을 위한 국제표준과의 연계까지 담은 종합 로드맵을 올해 안에 수립·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스마트팜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지만 표준화되지 않은 부품과 기자재 도입으로 인한 시설 도입 단가 상승, 관리 애로, 시설 확장과 운영 비용 증대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팜 국가표준 제정과 현장 확산을 서두르고, 중장기적으로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스마트팜 ICT 기자재 국가표준 확산' 사업으로 45억원을 신규 반영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가표준을 제정하면 기자재 간 호환성 확보로 제품 생산과 유지관리 등이 용이해진다. 농가는 환경에 맞게 센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부품 교환 비용 절감 효과 등도 볼 수 있다.
스마트팜 기자재 기업은 제품 설계와 개발비용 감소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기자재 보급·확산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대량 생산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시현과 중복 투자 방지, 기술 이전 촉진 등 연구개발(R&D)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전·후방 산업 발전을 위해 스마트팜 축산 분야 국가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축산 분야 ICT기자재(센서) 19종의 국가표준 제정은 올해 추진한다. 스마트축사에 활용되는 외기·내기 환경측정 센서와 농업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안전센서 등 측정 범위, 결선·배선 기준 등이다.
정부는 이보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시설원예 분야 22종을 스마트팜 분야 첫 국가표준으로 제정했다. 올해 축산 분야 19종을 추가 제정하면 스마트팜 국가표준은 41종으로 늘게 된다.
함봉균 정책(세종) 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