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광다이오드(LED) 마스크' 등 배터리를 내장한 미용가전 안전성 기준 마련에 착수한다. 배터리 전기 안전성뿐만 아니라 미용가전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 등을 바탕으로 안전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미용가전 업계에서도 건전한 시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안전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배터리내장 미용기기 안전관리 방안' 용역 연구를 발주하고, 이달 안에 연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최근 연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 빠르면 이달 연구에 착수해 올해 하반기 끝날 예정이다.
국표원은 연구를 통해 미용가전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을 분석한다. 미용가전에 내장된 배터리 전기적 안전성이 아닌 LED 마스크와 탈모치료기기 등 각 제품별 특성을 고려해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제도 대안도 제시한다.
국표원 관계자는 “(LED 마스크나 탈모 치료기기 등) 미용기기는 대부분 비관리제품”이라며 “(기기에 내장된) 국가통합인증(KC) 마크로 배터리 안전은 인증 받을 수 있지만 받지만 미용기기 자체 위해성은 검증 기준이 없다”고 밝혔다.
국표원은 국내외 배터리 내장 미용기기 사고와 리콜사례 조사로 안전관리 필요성도 검토한다. 해외 배터리 내장 미용기기 안전관리 제도 현황과 유사제품·사례 안전관리 현황을 조사·분석할 예정이다. LED 마스크·탈모치료기 등 미용기기는 얼굴이나 두피 등에 직접 닿기 때문에 인체 위해성에 대해 특히 민감하다. 최근 호주 등에서 LED 마스크 리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 미용가전을 유통하는 제조사에서는 일단 제도 도입을 환영하는 반응이다. 시장이 급격하게 팽창하면서 안전성이나 효과 면에서 검증되지 않은 제품도 유입되고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행 제도에서는 제품 성능, 안전성을 입증할 수 없어 외부 기관에서 제품성능을 검증 받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일부 불량 제품으로 시장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정부 차원에서 미용가전 제도를 마련한다면 이러한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간 제품 준비를 꾸준히 해왔던 입장에서 제품 우수성을 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업계에서는 국내 미용가전 시장이 올해 9000억원, 2022년 1조6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추산한다. 시장 성장에 맞춰 미용가전 브랜드도 최근 들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한 예로 LG전자(프라엘), 한국후지필름(엘리닉), 교원웰스, 셀리턴, 진영R&S(보미라이), 퓨리어스그룹(퓨리스킨) 등이 LED 마스크 시장에 뛰어들었다. 레이저 탈모치료기를 합하면 더 많은 브랜드가 관련 시장에 제품을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하듯 실제 미용가전 판매실적은 상승세를 탔다. 다나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피부관리가전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6%, 판매금액은 136% 늘었다.
국표원은 올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관계부처와 협업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국표원 관계자는 “식약처 등 관련부처와 협의해 (미용가전 관리 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지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