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發 불확실성 확대에...국내 ELS 투자자, 수출입기업도 전전긍긍

홍콩 시위가 장기화하고 중국 당국의 무력진압 가능성까지 대두하면서 수출입기업과 투자자의 불안감이 연일 증폭하고 있다. 460억달러에 이르는 대(對) 홍콩 수출과 홍콩 증시와 연계한 주가연계증권(ELS)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Photo Image

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중복합산)으로 한 ELS 발행액은 32조1869억원으로 전체 ELS 가운데 67.5%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달까지만해도 1만800선을 웃돌던 홍콩H지수는 이달 들어 급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홍콩 시위대가 공항을 점거했던 13일에는 9846.64까지 지수가 밀렸다. 이전 고점인 4월 17일의 1만1848.98에 비해 16.9% 떨어졌다. 이후 점차 상승세를 보였지만 지난 16일에도 H지수는 9964.30으로 거래를 마쳤다.

ELS는 만기 내에 기초자산 가격이 미리 정해진 수준 밑으로 하락할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다. 지수 고점 대비 35~50% 하락한 7000선까지 홍콩증시가 떨어질 경우 투자자에게는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홍콩 증시의 급락세로 인한 ELS 손실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6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13일 현재 H지수는 9847포인트로, 지난해 말 대비 2.7% 하락한 수준이어서 이 지수 연계 ELS의 손실 가능성이 아직은 희박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 경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한국무역협회와 코트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 홍콩 무역액은 480억달러 규모다. 이 가운데 수출은 460억달러(약 56조원)에 이른다. 중국, 미국, 베트남에 이어 4번째로 큰 규모다.

홍콩으로 수출하는 주요 품목은 반도체다. 지난해 홍콩 수출액의 60%를 차지한다. 전자기기와 기계류를 포함하면 전체 수출액의 82%에 이른다.

홍콩으로 수출되는 제품의 대부분은 중국으로 재수출된다. 홍콩은 동아시아 금융허브로서 무역금융에 이점이 있고, 중국기업과 직접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리스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법인세와 무관세 혜택도 장점이다.

실제 지난 12∼13일 홍콩 시위대의 홍콩국제공항 점거 이후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시장 불안은 물론 중계무역 등 실물 경제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역시도 홍콩 도심에서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다. 중국 당국의 강경 진압이 이뤄질 경우 사태 확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홍콩 사태가 미중 무역분쟁 등 다른 대외적 불확실성 요인과 연계해 국내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남아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일부에서 홍콩 시위가 경제 우려를 심화시킬 수 있는 '블랙 스완'(검은 백조)이 될 수 있다는 개연성을 제기하고 있다”면서 “홍콩 시위가 새로운 지정학적 리스크로 부상했다”고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홍콩 사태는 미중 무역분쟁 등 다른 불확실성 요인과도 연계돼 있다”며 “사태가 나쁜 상황으로 번진다면 우리 경제에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칠지 짚어보고 있다”고 말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