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달 국내 첫 전자의무기록(EMR) 인증 시스템이 발표된다. 정부가 국내 의료정보기술(IT) 시스템 고질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강력하게 추진한 만큼 첫 인증 대상에 관심이 집중된다. 시스템 상호운용성과 정보보안 강화를 위해 확산 필요성은 있지만, 인증에 따른 인센티브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았다.
21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이르면 내달 첫 EMR 인증 시스템을 해당 기관·기업에 전달할 예정이다. 10월에 추가 신청을 받아 시범사업을 넘어 EMR 인증제 본 사업에 착수한다.
EMR 인증제는 국내 병원이 자체 개발하거나 상용 EMR 제품을 대상으로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정부가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다. 기능성, 상호 운용성, 보안성 등 세 가지 기준에 따른 97개 항목을 심사한다. 인증 유효기한은 3년이며, 재인증 가능하다.
지난해 7월 시범사업에 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국립암센터 등 3개 병원과 평화이즈, 비트컴퓨터, 네오소프트, 이온엠솔루션, 자인컴 등 5개 기업 제품이 참여했다.
1년 간 심사 기간을 거쳐 인증 대상 윤곽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국립암센터 등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은 인증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화이즈, 비트컴퓨터 등 전문 솔루션 기업 시스템도 통과가 유력하다. 제도 시행 후 첫 인증이라는 점에서 실무추진단을 중심으로 지속 수정·보완을 지원해 대부분 통과를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인증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는 “인증에 필요한 시스템 보완 사항을 통보 받고 수정을 거쳐 최근 최종 결과물을 제출했다”면서 “8월쯤 인증 여부를 통보하다고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10월부터 본 사업을 추진한다. 추가 인증 신청과 함께 각종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공정하고 표준화된 인증 심사를 위해 내달까지 심사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인증 통과를 지원하는 개발 가이드라인을 연내 개발한다.
우리나라 의료기관 10곳 중 9곳(92.1%)은 EMR을 도입했다. 하지만 시스템이 제각각이라 시스템 호환과 정보 표준이 어렵다. 시장에 출시된 상용 EMR이 400개가 넘지만 품질 검증이 어렵다. 대형병원은 자체 개발을 선호해 매번 수백억원이 넘는 비용을 투입한다.
EMR인증제로 의료기관 간 시스템 호환성을 높이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경쟁력 있는 상용 EMR을 많이 양산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대형병원 차세대 EMR 개발에 투입되는 막대한 비용을 줄이고, 상용 EMR 활용을 높이면서 산업 육성까지 꾀한다.
EMR 인증제 지속 가능성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현재 인센티브로 의료기관이 매년 받는 '의료 질 평가'에 인증여부가 시범 항목으로 들어갔다. 본 항목에 인증 여부를 포함시켜 병원 참여를 유도하고, 인증 제품 도입에 따른 수가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증 받은 EMR을 도입해 의료 서비스 수준 향상, 병원 경영 효율 등 효과를 입증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지만 확정되지는 않았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건강보험 개편 논의에서도 EMR 인증에 따른 인센티브 안건이 포함돼 논의 중”이라면서 “기본적으로 수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인데 인증 받은 시스템과 기관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EMR 인증제 시범사업 대상 현황>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