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판문점 깜짝회동 이후 한반도 비핵화 시계가 다시 빨라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당일 바로 전달받고 후속 대책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907/1201207_20190701161704_992_0001.jpg)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일 기자들과 만나 “북미 회담 이후 한미 정상이 함께 있었는데 거기서 일부 회담 내용이 전달됐고, 트럼프 대통령이 차량에 타기 직전까지 회담 관련 내용 일부를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통역을 제외한 한미 측 사람을 다 물리고 문 대통령과 귓속말을 했다”며 “중요한 내용이 그 대화 속에 있었다”고 전했다. 추후 북미 정상회담 내용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미 정부로부터 전달 받았지만 현 단계에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지금까지 공개된 북미정상회담 내용은 북미가 2∼3주 내에 실무팀을 꾸려 비핵화 협상에 들어가기로 했다는 내용뿐이다. 문 대통령이 추가 협의 내용을 별도로 전해받은 만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다음 단계로 어떤 카드를 꺼내들지 주목된다. 북미 대화가 복원되기 전에는 남북 간 정상회담이 필요했지만 남북을 건너뛴 북미 간 만남이 바로 성사되면서 예전만큼 남북 대화의 필요성이 높진 않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에서 배제된 게 아니냐는 우려의 시각도 나오고 있다. 중재자 없이 북미 간 직접 거래가 이뤄짐에 따라 북미대화에 방점이 찍히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청와대는 4차 남북정상회담이 미뤄지더라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큰 그림'에서 올바른 과정이고, 중재자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청와대는 여전히 북미관계 개선에 청와대 역할이 적지않다는 점을 암시했다. 올 하반기에 비핵화 협상에서 진전이 나타날 수 있도록 중재자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현 단계에서 공개할 수 있는 부분은 한정적이며, 과정을 세세하게 밝히기 어렵다”며 “시간이 지나고 상대국에서 나오면 저희는 밝힐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조선신보는 이날 “세계의 경탄을 자아낸 역사의 장면은 오로지 조미수뇌분들 사이의 친분관계에 기초해서만 실현될 수 있었다”며 “세기를 이어 지속된 적대관계에 종지부를 찍자면 이처럼 격식, 의전의 관례도 벗어나 기존상식을 크게 뒤집는 충격요법이 필요하다. 싱가포르공동성명에 명기된 '새로운 조미관계의 수립'은 바로 이러한 독특한 방식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보도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