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정부, 기업은 제약산업에 인공지능(AI) 활용에 같은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대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 움직여야 합니다.”
쓰노다 도루 SAS일본 수석 시스템 엔지니어는 20일 한국과 일본은 제약산업 구조와 규제 동향 역시 비슷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일본이 시장 규모나 신약 개발 성과, 규제 개선 움직임에 앞서있기는 하지만 한국 제약 기업이 가진 잠재력은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쓰노다 수석 엔지니어는 “최근 연구개발 투자 규모나 신약개발 성과 등을 보면 전통 선진국을 제외하고 한국에서 성과가 두드러진다”면서 “서울은 세계 임상시험 건수 1위 도시인 만큼 관련 데이터도 풍부해 글로벌 제약사는 물론 IT기업도 주목한다”고 평가했다.
일본은 미국, 유럽 등에 이어 3대 선진시장으로 불릴 정도로 제약산업이 성장했다. 최근 IT 접목도 활발해 '대학·제약사·IT기업' 간 협업이 활발하다. 특히 2015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으로 비식별정보 활용을 확대하는 등 데이터에 기반한 제약, 바이오산업 육성에 집중한다.
일본 제약산업을 한국과 비슷하다고 한 이유는 무엇일까. 기업 보수성과 규제 불확실성에 있다. 토루 수석 엔지니어는 “제약산업은 규제산업이다 보니 다른 업계에 비해 IT 도입 등 새로운 시도에 신중하다”면서 “일본 역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에 따른 민감정보, 비식별정보 활용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등 모호해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분명한 것은 제약업계에 IT 활용은 필수라는 점이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대상자 선정, 약효 예측 등 신약개발 효율과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술 접목이 불가피하다.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인 SAS 역시 범용으로 제공하던 데이터 플랫폼을 제약·헬스케어 전용 솔루션으로 출시, 확대되는 수요에 대응한다. 대표 솔루션은 'LSAF(Life Science Analytics Framework)'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임상시험 데이터 변환, 분석, 보고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국제임상데이터 교환표준컨소시엄(CDISC) 표준을 지원해 제약이나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이 규제대응과 임상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쓰노다 수석 엔지니어는 “LSAF는 데이터 이관과 변환, 분석까지 임상시험 전 주기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라면서 “클라우드 기반으로 데이터를 관리해 연구와 관계 없는 사람에게 개인정보가 누설되는 일이 없도록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고 설명했다.
SAS코리아도 제약·헬스케어 영역 공략을 본격화한다. 2017년 국내에 LSAF 출시 이후 제약사 대상 영업에 집중한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 효율화까지 SAS가 축적한 데이터 노하우로 이런 한계를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토루 수석 엔지니어는 “제약산업 이점은 횡적인 연결고리가 튼튼해 규제당국, 기업이 함께 정보 교류를 할 수있는 기회가 많다는 점”이라면서 “제약산업 관계자뿐만 아니라 학교, 연구소 등이 힘을 합쳐 IT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다교기자 dk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