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산, 경남 김해·창원 등 6개 지역 일원이 초대 강소특구로 지정됐다. 강소특구는 새 연구개발특구 모델로 지역 혁신 거점으로 활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를 강소특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강소특구 모델 도입 후 첫 지정이다.
강소특구는 기존 연구개발특구와 차별화한 모델로 연구, 주거, 산업, 문화를 집적한 자족형 공간이다. 대학·연구소·공기업 등 지역에 위치한 주요 거점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고밀도 집약 공간을 R&D특구로 지정·육성한다.
안산은 한양대 에리카캠퍼스가 기술 핵심기관이다. ICT융복합 부품소재 특화 거점이 된다. 김해와 진주는 각각 의생명·의료기기, 항공우주부품·소재 산업 중심이다.
창원, 포항, 청주는 각각 기능전기 기반 기계 융합, 첨단 신소재, 스마트IT 부품·시스템 특구로 지정됐다.
과기정통부는 6개 강소특구를 공공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 혁신 거점으로 육성한다. 지역 혁신 큰 틀인 '자생적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해 각 지역 강점분야를 특화분야로 설정하고 진흥한다. 지역 내 제품 개발, 애로 해결과 투자 유치 등은 물론, 연구소기업 설립 등 신규 창업을 촉진해 일자리를 창출한다. 2024년까지 6개 강소특구를 통해 1500개 기업 유치, 1만8600명 고용 창출, 9조3000억원 매출 증대 등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강소특구를 통해 △지역 수월성 극대화 △지역 균형발전 강화 등 정책 목표를 실현할 방침이다. 이런 내용의 정책운용 방향을 담은 방안을 특구위원회에 보고했다.
지역에 균등한 강소특구 지정요청 기회를 부여하되, 심사 과정에서 엄격한 역량 평가와 컨설팅을 실시하기로 했다. 강소특구 성과종합평가 시행 등 경쟁시스템을 적용하고, 엄격한 인센티브·패널티 적용을 총해 철저하게 성과 중심 관리를 추진한다.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4개 기존특구와 강소특구 간 연계·협력 구조를 구축해 R&D특구 추진체계 효율성을 제고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강소특구를 중심으로 지역이 자율적 육성 의지를 가지고 지역 주력 산업의 고도화,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등 지역 주도 혁신성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호 정책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