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국립병원 핵심 정보시스템이 전면 개편된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차세대 시스템을 구축한다. 정보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국립병원이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공공의료 수준 향상이 기대된다.
13일 보건복지부는 산하 국립병원 8곳을 대상으로 차세대 전자의무기록(EMR)을 개발·보급한다. 연말까지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본 사업에 착수한다.
이번 사업은 노후 시스템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정책·기술 등 환경 변화를 반영한 차세대 EMR 시스템 개발이 핵심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낮은 국립병원 정보화 수준을 끌어올려 공공의료 서비스 수준을 높인다.
대상 병원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나주, 부곡, 춘천, 공주, 마산, 목표, 소록도병원 등 8곳이다. 이들 병원은 2007년 개발된 EMR을 사용 중이다. 몇 차례 자체 고도화를 했지만 시스템이 노후된 데다 일부 기능은 지원하지 않아 의료진이 여전히 수기로 작성하는 상황이다. 특히 데이터 표준화나 구조화는 전무해 빅데이터 활용은 불가능하다.
복지부는 우선 각 국립병원 업무 절차와 정보화 현황 등을 분석,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이 결과를 차세대 EMR 시스템에 녹여 프로세스 개선을 유도한다. 최근 보건복지 정책, 고시, 법안 등도 시스템에 반영한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 적용도 검토한다. 현재 복지부는 산하 국립병원 내 사용기간이 경과한 전산장비는 G-클라우드로 전환할 계획이다. 하드웨어(HW)뿐만 아니라 EMR 등 소프트웨어(SW)도 클라우드로 전환, 관리 편의성과 보안성 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한다. 데이터 표준화, 구조화 등으로 빅데이터 분석 체계도 마련한다.
신제수 복지부 정보화담당관은 “현재 복지부 산하 국립병원 EMR은 10년 이상 사용함에 따라 노후됐고, 사실상 개별기관만 쓰도록 설계돼 폐쇄적이었다”면서 “이번에 개발하는 차세대 시스템은 클라우드나 빅데이터, AI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해 정보화 수준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말까지 사업일정, 개발 방향, 예산 등을 담은 ISP를 도출한다. 실제 개발은 내년 초 착수할 예정이다.
약 13년 만에 진행되는 국립병원 차세대 시스템 사업으로 공공의료 서비스 개선이 기대된다. 이번 차세대 사업 대상인 8개 병원은 정신질환, 결핵, 한센병 등을 치료한다. 외래진료는 월평균 1만6225건, 입원 환자는 일평균 1711명에 달한다. 국가가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운영하지만 수익을 내는 진료과목이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재정이 열악할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EMR 등 정보화 수준 역시 낮다.
SW, HW 등 정보화 자원을 클라우드로 전환해 운영·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빅데이터 체계까지 갖춰 진료와 연구 역량을 확보한다. 특히 정신질환, 한센병 등 데이터가 가장 많이 확보된 상황에서 활용 기반만 마련될 경우 의료 서비스 개선은 물론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된다.
신 정보화담당관은 “그동안 민간병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국립병원 정보화 수준이 떨어졌는데, 이번 차세대 시스템 사업을 계기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계기를 마련했다”면서 “시스템 고도화는 공공의료 서비스 전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표, 차세대 EMR 개발 사업 대상 국립병원 현황>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