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을 위한 기업 투자를 유도하는 환경 조성 요구 목소리가 높다. 최근 인보사 사태로 제약·바이오산업 전체가 위축될 수 있는 상황에서 신약개발 목표를 정부에서 기업 중심으로 관점을 바꿔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11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바이오헬스산업-신약산업-민간투자&기간산업'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정부는 올해 제약바이오에 4조원 이상 투자한다고 밝혀 제약·바이오를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한다. 개발 주체인 기업이 적극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
국내 제약 산업은 내수중심 연구개발로 신약 재투자와 글로벌 시장 진출 유인책이 부족하다. 연구개발(R&D) 규모는 다국적 제약사의 10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약가 보전 문제도 발생한다. 수 조원을 신약개발에 투자해도 그에 걸 맞는 약가를 보전 받지 못해 다수 국내 기업은 신약개발을 포기하거나 기술이전을 목표한다.
여재천 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는 “정부에서 제약·바이오를 기간산업으로 지정한 만큼 그에 걸맞는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는 것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선결 조건이다.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 R&D 비용을 늘리고 관련 인력 늘리는 것은 부차적인 문제”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약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혁신 환경을 조성해 제도적 유인책과 규제 완화, 시장 상용화 등 근본 프레임을 제대로 형성해야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과 비교를 통한 벤치마킹도 요구했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은 기초부터 응용연구 지원까지 일관된 정책을 추진해 신약개발 전주기적 로드맵을 제공한다.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임상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 신약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해 기업 후보물질 이전을 촉진한다. 일본은 신약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으로 생명과학 분야 기초연구 성과를 임상연구, 신약개발 지원 등 상용화에 중점을 둔다. 증가하는 연구비를 일정비율 세액공제하거나 생명과학 우수인재를 확보·육성한다.
산업계는 정부의 기업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단기·중장기적 플랜이 신약개발을 장려할 것으로 전망한다. 산학연이 함께 논의해 바이오헬스 산업 외연을 확장하고 제약 산업 장기 성장을 목표한다.
이어 최근 인보사 사태로 나타난 신약개발 어려움과 다양한 돌발변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기업의 신뢰 회복 노력도 강조했다. 신약개발을 위한 무조건적인 빠른 심사보다는, 지금까지 성장한 산업이 한 순간에 무너지지 않도록 투명성 있는 성과를 내야한다는 입장이다.
여 전무는 “인보사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개발이 어려운 세포유전자 치료제로, 무조건 빠른 심사를 통해 시장에 나가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며 “국내 기업 기술이 글로벌 제약사에 뒤지지 않고 제약 산업이 기하급수적 성장하는 만큼 기업이 스스로 각성하고 반성해 향후 신약개발에 대한 투자가 위축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성다교기자 dk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