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착수 5개월여 만에 나온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와 ESS 산업생태계 경쟁력 지원방안에 업계는 대체로 환영의 뜻을 밝혔다. 화재 원인이 규명되면서 리스크가 해소되고 미뤄졌던 신규 발주가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감 덕분이다.
지난해부터 잇따른 화재 사고 여파로 신규 ESS 프로젝트가 '올스톱' 되면서 국내 ESS 업계는 수주 공백기를 견뎌왔다. 올해 초부터 다중이용시설과 LG화학 배터리가 탑재된 수백곳 ESS 사동도 중단되면서 금전적 손실도 크던 상황이다.
산업부는 국내 ESS 산업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마련했다. 화재 이후 ESS 설치 중단기간을 고려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적용을 6개월 연장하고 이달 중순'사용전 검사' 기준에 ESS 설치기준 개정사항을 우선 반영해 ESS 신규 발주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ESS 관련 업체가 소속된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이번 발표에 업계가 기대한 내용이 대부분 반영돼 ESS 산업이 활성화되고 국제경쟁력을 높여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대책에 포함된 설치기준과 통합관리기준 등에 신속히 대응하고 사업장별 특성을 반영한 예방조치에도 선도적으로 임해 ESS 산업의 지속성장과 보급 활성화에 솔선수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업계관계자는 “REC 가중치 연장 등 업계에서 요구했던 활성화 대책은 대부분 담긴 것 같다”면서 “상반기 내 여러 가지 이유로 제한됐던 신규 발주가 하반기 쏟아져나오면서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PCS) 등 부품 공급부족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가동 중단과 가동률 제한으로 인한 손실 보전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점은 아쉽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올해 초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 345개소에 대한 가동을 전격 중단했다. 이어 LG화학이 자사 배터리를 탑재한 ESS 389개소에 대해 가동 중단을 요청했다. 이에 따른 직접 피해 규모만 매월 3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업체 대부분이 미리 투자를 진행하고 ESS를 가동하면서 전기요금 절감 금액을 받아 운영자금을 충당하고 대출금을 상환하는 구조다보니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처한 곳도 상당수였다.
한 ESS 시공·운영사 관계자는 “다중이용시설과 공공기관에 설치된 ESS는 여전히 가동이 중단된 상태로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대출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 이에 대한 보상안은 이번 대책 발표에 포함되지 않아 아쉽다”면서 “사용전검사 기준에 ESS 설치기준 개정사항을 우선 반영한다고 해도 이것이 곧 신규 계약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 만큼 여전히 걱정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경훈 산업부 분산에너지과장은 “가동중단 사업장과 달리 충전율 제한으로 인한 손실을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그렇지만 손실이 입증이 가능하고 이를 충실히 이행한 업체에 대해서는 한전과 협의해 손실 보전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