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31일 ASCO서 'AI 바이오마커' 기술 공개

Photo Image
루닛 조직 슬라이드 분석 AI 소프트웨어 루닛 스코프

루닛(대표이사 서범석)은 31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반응 예측 연구 초록을 발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루닛과 삼성서울병원이 공동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비소세포폐암 환자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성을 예측하는 모델이다. AI와 PD-L1을 대조해 면역관문억제제 바이오마커로 AI 가치를 평가했다.

PD-L1은 면역관문억제제 주요 바이오마커로 알려져 있다. 루닛은 자체 개발한 AI 바이오마커 'AI점수'와 PD-L1 발현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PD-L1 양성, 음성 환자군에서 각각 AI점수에 따라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성과 생존율(PFS)이 달라졌다. PD-L1 음성으로 분류돼 반응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 환자군에서 AI 점수로 다시 분류한 결과, AI 점수가 높은 환자 중 52%는 실제로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이 있는 환자였다. 이들은 AI 점수가 낮은 환자들에 비해 생존율이 3배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PD-L1 양성으로 반응성이 기대된 환자군에서 AI 점수 재분류를 한 결과, AI점수가 낮은 환자 중 63%는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성이 없는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AI 점수가 높은 환자군에 비해 생존율이 6배 가량 짧았다.

PD-L1과는 독립적으로 AI 점수를 활용한 단독 분석도 진행했다. PD-L1으로만 분석할 경우 PD-L1 양성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을 보인 환자 비율이 49%였던 것에 비해, AI점수가 높은 환자군에서는 65%에 달하는 환자가 반응을 보였다. AI를 활용할 경우 반응성이 있는 환자를 기존보다 약 1.3배 이상 더 발견해냈다.

팽경현 루닛 이사는 “기존 PD-L1 마커로만 구분되던 환자군에서 AI점수를 이용한 추가 분류로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를 더 많이 발견해 냈다”고 말했다.

해당 초록은 내달 2일 ASCO 오전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된다. ASCO 기간중 부스를 운영해 정밀의료 연구 내용과 향후 개발 계획 등도 소개한다.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