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성백린 연세대 교수, 김균환·박은숙 건국대 교수, 김광표 경희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에서 독성을 일으키는 핵심 인자와 기전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1918년 발생한 스페인 독감은 5000만명 이상 사상자를 기록한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 감염병이다. 고 위험성 독감(인플루엔자) 감염은 막대한 인명 피해와 국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 병인과 치료 개발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팀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PB1-F2'라는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있음을 주목했다. 이것이 우리 몸 항바이러스 역할을 하는 인터페론 베타를 강력하게 억제해 바이러스 병독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밝혀냈다. 인터페론 베타는 바이러스나 특정 박테리아 감염 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초기 면역시스템에서 유도되는 물질 중 하나다.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와 같이 PB1-F2 단백질의 특정 위치 아미노산에 돌연변이가 있을 때만 특성이 나타났다. 돌연변이가 없는 병독성이 약한 일반적 인플루엔자는 이러한 성질을 보이지 않았다.
돌연변이 PB1-F2은 인터페론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필수 단백질인 'DDX3'를 분해시킴으로써 인터페론 베타의 유도를 막았다. 감염자가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하는 이유다.
김균환 교수는 “스페인 독감의 새로운 병인 기전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새 형태 고 위험성 인플루엔자 감염의 치료제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면서 “특정 위치 돌연변이 규명을 통해 스페인 독감과 같은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조기에 검출하고 예측할 새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백린 교수는 “스페인 독감은 인류가 경험한 감염성질환 중 최고 사망률을 보였다”면서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높은 병원성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게 됐다. 최근 스페인 독감과 유사한 유전적 변이와 중증 감염이 나타남에 따라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했다. 국제학술지 '엠보 저널'에 12일 실렸다.
최호 정책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