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전기이륜차 보급에 기여한 업체를 친환경기업으로 지정한다. 생활 속 미세먼지 저감 대책 일환이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10만대 규모 배달용 내연기관 이륜차를 전기이륜차로 교체한다. 이를 위해 관련업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당근책으로 친환경기업 인증을 내줄 계획이다. 늦어도 올 연말 수여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기이륜차 도입을 결정한 업체 중 기업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인증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많았다”며 “참가 기업 수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 검토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전기이륜차로 교체 시 보조금을 지원한다. 구매가의 30% 수준이다. 다만 인증 기업에 별도 인센티브를 주진 않는다. 서울시에 등록된 전체 이륜차는 44만6000대다. 이 중 10만대가 배달용으로 쓰인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4일 프랜차이즈 기업 3곳, 배달 대행업체 바로고, 메쉬코리아, 배민라이더스와 전기이륜차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교환했다. 이들 업체는 올해 중 내연기관 이륜차 1050대를 전기이륜차로 바꾼다.
후속 대책도 추진한다. 참가 기업 외연을 넓힌다. 동참을 원하는 프랜차이즈 기업, 배달 대행업체를 다시 모아 올 연말 협약식을 연다. 전기이륜차 제조사와도 손잡는다.
배터리 교체형 전기이륜차 충전 인프라도 구축한다. 장기 과제로 설정했다. 자판기 형태 배터리 교환시설을 운영하는 대만 고고로 모델을 참고한다. 운전자는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때 교환시설을 방문, 완충 상태 배터리로 갈아 끼울 수 있다.
이 같은 구상이 현실화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전기이륜차 배터리와 충전 인프라 운영 방식에 대한 표준화가 언제 이뤄질지 알 수 없다. 2030년이 넘어갈 수도 있다.
현재 대림오토바이를 포함해 12개 업체가 프로세서 개발에 뛰어들었다. 업체별 공통 의견이 모아지지 않았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표준화 제정에 속도를 붙이기 위해 정부, 업계와 지속 논의를 벌일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충전 인프라 등 모든 조건이 갖춰진다면 좋겠지만, 미세먼지 심각성을 감안해 먼저 할 수 있는 일들부터 빠르게 해결할 것”이라며 “다행히 전기이륜차 확산에 뜻을 함께하는 업체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전했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