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025년까지 전기차·스마트 의료기기 등 지역 신산업 벨트를 육성하는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을 추진한다.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을 통해 신산업 육성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점이 특징이다. 산업부는 사업을 통해 지역 중소·중견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만든다는 목표다.
28일 정부와 관련기관에 따르면 산업부는 2021년에서 2025년까지 추진하는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 초안 내용을 확정했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고, 다음달에는 본 예비타당성 심사에 돌입할 예정이다.
산업부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은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의 후속 사업이다.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은 지자체 2곳이 참여해 사업을 운영하는 점이 특징이다. 각 지자체가 보유한 자원 한계를 극복해 사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행정구역 범위를 넘어서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여타 지역 R&D 사업과 차별점이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광역협력산업육성사업은 지자체 2곳이 참여해 지역 산업벨트를 육성한다”며 “지역별로 다른 자원을 결합해 산업 육성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장점”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후속 사업인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 중소·중견기업을 글로벌 수준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사업은 실제 상용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성숙도(TRL) 6단계 이상 R&D를 적용한다. 1단계 사업에서는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지자체 간 상용화 R&D를 지원하고, 2단계 사업에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시장 진출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1단계 사업에서 3년간 상용화 제품 경쟁력을 갖추면, 2년간 추진하는 2단계 사업에서는 글로벌 가치사슬에 편입할 수 있는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산업부는 새 사업을 추진하면서 신산업 전후방 연계가 강화되도록 지역 자율성을 강화했다. 과제 선정과 협약, 관리를 지자체 사업단에서 담당하도록 했다. 신산업별로 주관 시도도 명확하게 구성했다. 각각 △친환경조선해양플랜트(부산·울산·경남) △전기·자율차(대구·전북·경북) △바이오치료제(강원·충북·제주) △스마트의료기기(충남·세종·대전) △에너지(광주·전남)로 신산업 육성 지자체를 나놨다. 이들 주관 지자체가 사업을 주도하되, 참여 지자체는 협업에 집중하도록 했다.
산업부는 2021년에서 2025년까지 5년간 9806억원을 투입한다는 구상이다. 이전 사업보다 규모를 줄이되 사업 집중도를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존 광역협력산업육성사업과 다른 지역 R&D 사업과는 다르게 지자체 협력을 통해 각 지자체가 가진 자원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며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은 지역 사업단에 중앙 정부 권한을 이양해 지자체 자율성을 강화하고, 신산업 협력벨트를 지역에서도 육성하도록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