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LTE 신호만 쓰는 위치측정기술 개발...30m 정확도 구현해 상용화도 준비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이 스마트폰 LTE 신호만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는 위치 측정 기술을 개발했다. 이동통신사인 KT와 협력해 기술 상용화도 추진한다.

KAIST는 공승현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교수팀이 평균 30m 이내 정확도를 갖는 LTE 기반 위치 측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Photo Image
서울 종로에서 축적한 LTE 핑거프린트 중 신호세기를 표시 한 모습

GPS와 같은 위성항법 시스템은 도심 내 고층 건물이 밀집한 곳에서는 오차가 심하다. 극심한 신호 난반사로 수백m 이상 오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 때문에 와이파이(Wi-Fi) 공유기 신호를 활용한 '무선주파수(RF) 핑거프린트'로 스마트폰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 나왔다. 그러나 이 기술은 Wi-Fi 공유기 여러 대가 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곳에서만 제 기능을 발휘했다.

연구팀은 LTE 기지국 신호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썼다. 사용자 스마트폰에서 측정한 신호 측정치를 미리 구축한 'LTE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해 위치를 파악하는 식이다.

Photo Image
공승현 KAIST 교수(왼쪽에서 세 번째)와 연구진

연구팀은 이 기술이 변화가 잦은 이동통신 신호환경에 강하고, 최적의 패턴 매칭 기법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미 KAIST 주변과 서울 광화문 일대 등에서 기술을 시연해 평균 30m 오차 성능을 확인했다.

공승현 교수는 “지금은 LTE 기반이지만 5G 환경에서 기존보다 15m 내외 측위 정확도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며 “앞으로는 LTE 신호 환경이 바뀌었을 때 이를 자동 탐지하고 DB를 신속하게 갱신하는 기술도 추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