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제 해결하는 것이 과학이 해야 할 일입니다.”
김진형 인공지능연구원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출발점을 공해, 교통체증, 고령화 같은 사회문제 해결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우리 정부도 사회문제부터 출발했으면 좋겠다”며 “모든 문제를 인공지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 '소사이어티 5.0'이 좋은 예다. 소사이어티 5.0은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고도로 융합시킨 사회시스템을 말한다. 사물인터넷(IoT)에서 모든 사람과 물건이 이어진다.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공유된다. 인공지능(AI)이 데이터를 분석한 후 물리 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피드백한다.
일본 정부는 드론, 로봇,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청사진을 내놨다. 드론을 이용해 재난 지역에서 구조 활동을 한다. 접근하기 힘든 지역에 물건 배달도 가능하다. 병원에서 환자를 간호하는 로봇, 무인 트랙터, 청소 로봇도 상상해볼 수 있다. 클라우드를 회계 분야에 활용해 효율적인 경영체제도 실현한다.
서울시도 지난 13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지능형 CCTV'가 대표적이다.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영상을 분석한다. 싸움, 방화 등 특정상황을 탐지한다. 위험이 감지되면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실시간으로 알린다.
사물인터넷으로 어르신, 장애인 등 취약계층 시민 건강관리도 돕는다. 홀몸 어르신 가정 TV, 전기밥솥 등 전력 사용량을 사물인터넷 플러그로 감지한다. 일정 시간 동안 변동이 없으면 사회복지사에게 '방문요청'이 전송된다.
김 원장은 “일본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이용해 저출산, 고령화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잘되면 수출도 가능하다”며 “우리나라 전자정보 시스템을 우크라이나, 베트남이 가져다 쓰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잘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AI 인재 육성에 대해선 쓴소리도 했다. 김 원장은 “정부에서 인공지능대학원, 이노베이션 센터 등을 설립하고 있으나 실익은 적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대학이 AI과를 신설해도 결국 기존 학과, 다른 학교에서 인력을 빼 온다는 것이다. 그는 “결국 인공지능 관련 교수를 더 많이 뽑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묘섭 수습기자 my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