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소경제 안착과 활성화를 위해 초기 시장 진입 투자 위험을 줄이고 장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수소전기차 양산과 효율적인 수소 인프라 구축도 과제로 제시됐다.
박진남 경일대 교수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이젠 수소경제다' 토론회에서 “(수소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모든 이해관계자가 장기적으로 이익을 가져가야 하고, 초기 투자 위험을 공동으로 나눠 부담해야 한다”면서 “수소충전소는 초기부터 민간 사업자가 진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수소경제 토대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장기적으로 이익이 발생하는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와 수소충전소 사업자, 수소 생산·판매 업체, 수소전기차 생산업체, 수소충전소 건설업체, 수소전기차 소유자가 고르게 혜택을 보는 수소 시장 생태계가 형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시장이 형성되는 초기에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도 중요하다.
기술적으로는 수소전기차 양산, 수소 생산·이동·저장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수소전기차는 연 50만대 수준을 양산해야 하고, 수소 인프라 구축을 위해 수소 생산·이송·저장 기술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 수소 발전은 연료전지뿐만 아니라 수소터빈도 고려해야 한다.
박 교수는 “수소전기차 가격 하락을 위한 양산이 중요하고, (효율적인)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도 필수”라면서 “수소터빈은 국내 기술이 미흡하기 때문에 관련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소·연료전지 핵심 기술을 국산화하고, 부품 협력업체 육성을 통해 국내 수소 산업 글로벌 경쟁력을 시급히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일본·미국과 유럽은 수소 생산과 저장·운송, 이용에 이르기까지 산업 가치사슬을 구성할 수 있는 기업 및 기술을 보유했다. 국내도 가치사슬 부문별 기술력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박순찬 현대자동차 연료전지사업실 이사는 “수소 산업은 생산과 저장·운송 및 공급·이용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으로 구성됐고, 부문별 다양한 기술이 존재한다”면서 “수소·연료전지 핵심 기술 국산화와 부품 협력업체 육성을 통해 국내 수소 산업 생태계의 분야별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고압기체수소에만 기반해 구성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럽과 미국에서 활용하는 액화수소를 기반으로 한 정책도 만들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부생수소 활용량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예측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정부는 수소경제 확산 초기 부생수소를 활용한 충전소를 보급할 계획을 로드맵에 담은 바 있다.
토론회는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주최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후속 조치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다음 달 10일까지 5회 연속 개최된다.
권 의원은 “수소경제로 산업 구조의 혁신적 변화와 근본적인 에너지 체계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면서 “(수소경제 활성화 후속 조치를 위한) 시리즈 토론회를 통해 전문가·담당부처와 협의하고, 국회 법률 개정 및 정책 지원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등 정부 부처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 근거 마련과 산업 생태계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지원을 이어 간다. 산업부는 관계 부처와 함께 올해 수소 기술 로드맵을 만들고, 국회와 함께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경제법'을 제정할 계획으로 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