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바이오헬스 분야에 약 3조원을 투입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바이오 간 융합을 확대한다. 또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과 같은 신기술 역량을 확보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에서 제31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개최하고 올해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올해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는 연구개발(R&D) 2조4000억원, 인력 양성 2756억원, 인프라 구축 1800억원 등 2조9300억원 규모다. 전년 대비 2.91% 늘었다. 생명과학 영역이 1조3625억원으로 가장 많다. 뒤를 이어 의료 5391억원, 농업 2814억원, 융합신산업 1766억원, 환경 1096억원 등 순이다.
2017년 기준 1.8% 수준인 글로벌 바이오시장 점유율을 올해 2.6%까지 끌어올린다는 목적으로 투자가 이뤄진다. 기술 수출은 올해 10억1200만달러(약 1조3000억원), 일자리 창출 5만8000개, 사회 문제 해결 기여 8255건도 목표로 한다.
2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R&D는 혁신 신약, 융·복합 의료기기, 맞춤형 헬스케어 등 신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기반 구축, AI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 개발,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등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BT) 간 융합 사업이 신규 과제로 추진된다. 데이터를 활용한 신약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고도화, 맞춤형 치료 구현 등을 시작한다.
치매, 감염병, 생활환경 등 국민건강과 생활편익을 돕는 진단·치료 기술 개발도 착수한다. 최근 국가 과제로 떠오른 미세먼지 완화를 위해 '미세먼지 기인 질병대응 연구'를 비롯해 △돌봄로봇 중개 연구 및 서비스 모델 개발 △감염병 관리 기술 개발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사업이 올해 이뤄진다.
미래 바이오헬스 패러다임에 맞춘 전문 인력도 양성한다. 약 37억원을 투입해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 연구 사업이 대표적이다. 진료가 아닌 연구 중점 의사를 양성해 연구 결과가 임상 현장에 활용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연구 결과를 상업화까지 이어지도록 창업 생태계까지 조성한다. 바이오경제 활성화 프로젝트(220억원), 벤처창업 바우처 지원(30억원), R&D 재발견 프로젝트(219억원)가 대표적이다.
바이오헬스 육성 걸림돌로 작용해 오던 규제 개선도 추진한다. 범부처 R&D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대상으로 선제적 평가 기술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신기술을 적용한 첨단 의료기기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평가 체계가 없어 시장 진입은 지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선제적으로 인허가 가이드라인을 제공, 상업화를 유도한다.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마이크로바이옴 등 바이오 신기술 육성을 위한 규제 전반을 검토한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바이오는 최근 우수한 성과가 창출되면서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는 분야”라면서 “올해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R&D, 인력 양성, 규제 개선 등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