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에 걸리면 장내 박테리아 개체 수가 크게 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립 노인병·노인학 센터 기억장애 전문가 사지 나오키 박사가 주도했다. 보고서는 미국 뇌졸중협회 주최로 오는 5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리는 '2019 국제 뇌졸중 회의'에 발표 예정이다.
장내 박테리아가 치매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성 타진을 위해 시작한 연구다.이 센터 기억장애 클리닉에서 128명 자원 환자를 모집했다. 평균 연령이 74.2세였고 59%는 여성이었다.
연구팀은 신경 심리 검사로 이들 인지능력을 평가하고, 뇌 MRI 촬영 했다. 연구팀은 장내 박테리아 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변 샘플을 분석했다.
치매 환자 대변엔 암모니아, 인돌(indole), 스카톨(skatole), 페놀(phenol) 등 화학물질 수치가 높았다. 스카톨과 인돌은 변 냄새 주성분이다.
농도가 높으면 악취, 농도가 낮으면 꽃향기를 낸다. 실제로 많은 종류의 꽃향기는 이들 두 화학 성분이 만든다. 치매 환자는 균 유사체 박테로이드(Bacteroides) 수치가 정상 환자보다 낮았다. 박테로이드는 유독성 섬유소를 인체가 쓸 수 있는 당류로 분해하는 이로운 세균이다.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 속 세균 수치는 치매 환자에서 더 높았다.
사지 박사는 “장내 박테리아가 치매 예방 목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는 '장내 미생물 전체(microbiota)가 독립적이고 강력한 치매 위험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