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R&D) 과제에 10년간 2조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범부처가 손을 맞잡고 로드맵 마련에 본격 나선다.
산업부와 과기부 등 관련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이끌 핵심기술을 국산화하고 기술을 실증할 사업을 연내 마련해 내년부터 추진한다.
정부는 수소경제를 뒷받침할 중장기적이고 핵심적인 R&D 과제를 발굴해 수소경제 활성화를 이끌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2030년까지 목표 달성을 위해선 기술적으로 해야 할 일이 많고, 이를 뒷받침할 기술 개발과 실증사업 등이 선행돼야 한다”며 “연내 핵심과제를 발굴해 향후 10년간 2조원을 투입한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물 분해 수소 생산 기술과 연료전지 개발 핵심 과제 등이 향후 과제에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수소차 기술을 대거 보유했지만 연료전지 부문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에너지 인프라 기술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소 에너지 기술은 가치사슬별로 생산, 이동·운송, 처리, 인프라 구축, 수소 연료전지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
수소 생산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지만, 주로 철제조나 석유화학 등에서 나오는 부생수소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액화천연가스(LPG) 제조 때 나오는 추출수소는 추출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₂)가 발생하는 환경적인 문제가 있다.
현재 연구 중인 방법으로는 원자력발전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는 방법이 있지만, 효율이 낮고 핵연료를 쓴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견해가 있다.
이밖에 열화학법에 의한 수소제조기술을 비롯해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초고온원자로를 활용한 기술, 고상추출 수소제조기술 등이 연구 중이며, 이 기술들이 R&D 과제에 포함될 지 주목된다.
연료전지 부문에서도 R&D 과제가 도출될 전망이다. 수소와 발전용으로 사용할 연료전지에는 촉매물질로 백금(Pt)이 사용된다. 백금은 가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촉매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촉매를 경량화해 더 적은 환경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대체물질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밖에 운송을 위한 수소 액화·액상 저장기술 개발도 필요하다. 현재 충전압력은 35메가파스칼(㎫)인데 이를 45㎫까지 높이고, 내부용적은 150L(리터)에서 450L로 이상으로 높이는 기술이 필요한 게 현실이다.
정부 관계자는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기술로드맵에는 안전관리와 핵심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 등 전방위적인 과제 도출이 필요하다”면서 “기술과제가 결실을 맺으면 2030년부터 15건 이상 국제표준 제안과 표준화 활동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경민 산업정책(세종)전문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