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 사업이 낮은 경제성과 포항 지진 여파로 좌초 위기에 빠졌다. 울릉도를 비롯해 6개 자립 섬 모두 검토 단계에 머물렀다.
정부는 새해 3월 포항 지진과 지열 간에 무관함이 확인되면 울릉도를 시작으로 지열발전소 사업이 다시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30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2015년부터 4년 내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던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 사업 재개 여부가 지열과 지진 간 연관성이 구명되는 새해 상반기에나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새해 2~3월께 포항 지진과 지열발전 간 연관성을 분석한 정부 조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면서 “관련성이 없다고 밝혀지면 울릉도에서 추진하던 지열발전소 구축도 재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은 육지와 떨어진 섬에서 주로 사용하던 디젤발전을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친환경 에너지로 대체하는 민간 중심 사업이다.
LG CNS, 경북도, 도화엔지니어링, 울릉군이 2015년 9월 울릉도를 친환경 자립 섬으로 조성하기 위해 268억원 규모 사업목적회사(SPC)를 설립하며 시작했다. 참여 민간사업자가 친환경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공사와 20년 전력수급계약을 맺어 수익을 내는 방식이다.
같은 해 7월에는 덕적도, 조도, 거문도, 삽시도, 추자도를 포함해 주관사를 선정하고 경제성을 검토했다.
첫 사업 모델인 울릉도는 당초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지열 등을 검토했다. 태양광은 잦은 해무로 인한 일조량 부족, 풍력은 바람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탓에 각각 제외됐다. 연료전지 역시 기술과 경제성을 이유로 중도 탈락했다. 이후 지열발전 중심으로 사업 계획을 변경했지만 2017년 12월 발생한 포항 지진으로 사업이 더 이상 진척되지 않았다.
정부는 올해 3월부터 산업부 주관으로 국내외 지질·지진 전문가를 포함한 정밀 합동조사단을 꾸렸다. 새해 2월까지 포항 지진 원인 규명 조사를 한다.
울릉도 사업을 모델로 삼은 나머지 5개 섬도 경제성 검토 단계에 머물고 있다. 당초 내년이 사업 완공 목표인 것을 고려하면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 구축 계획 달성은 어렵다. 이 때문에 실패한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자립 섬 사업을 시작할 때만 해도 유가가 가파르게 치솟아 디젤을 대체할 에너지원을 찾는 사업 일환이었다”면서 “그러나 유가가 안정되고 신재생에너지 기술과 경제성이 한계를 노출하면서 사업이 지지부진해졌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자립섬 정책을 신재생에너지 정책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다른 관계자는 “에너지 자립 섬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경쟁력이나 경제성, 환경영향평가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추진함으로써 우여곡절을 겪었다”면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할 때도 면밀한 조사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에너지 자립섬 추진 현황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이경민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