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업장 가진 제조기업 96% 국내 'U턴' 계획 無

해외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 기업의 국내유턴 계획이 미미한 수준이며, 국내유턴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노동유연성 제고와 규제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조사결과가 나왔다.

Photo Image
한국경제연구원 제조기업 국내 U턴 현황 및 계획 조사 결과 (제공=한국경제연구원)

한경연(원장 권태신)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제조 기업 중 해외사업장을 보유한 기업 15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6%에 해당하는 대다수 기업은 국내 유턴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한경연 조사 결과 국내 유턴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비중은 1.3%로 2개사에 불과했다. 향후 국내사정이 개선되거나 현지사정이 악화될 경우 국내 유턴을 고려할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도 2.7%로 4개사에 불과했다.

국내유턴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는 △해외시장 확대(77.1%) △국내 고임금 부담(16.7%) △국내 노동시장 경직성(4.2%)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한경연 측은 해외진출 기업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대응과 현지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해외 생산거점을 매우 중요시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해외 생산거점에 대한 추가 투자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투자규모 유지(67.4%) △투자 규모 확대(24.3%) △경영환경이 더 나은 제3지역으로 진출(5.6%) △투자규모 축소(2.1%)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기업이 현재 해외 생산거점에 대한 투자 수준을 축소하기보다는 유지·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Photo Image
U턴기업 지원제도 개편방안 선호도 조사 결과 (제공=한국경제연구원)

유턴기업 확대를 위한 필요 과제로는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29.4%)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규제완화(27.8%) △비용지원 추가 확대(14.7%) △법인세 감면기간 확대주)(14.2%) △수도권 유턴기업에도 인센티브 허용(7.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국내기업 유턴 촉진을 위해서는 노동시장 유연화·규제완화 등 국내 경영환경 개선이 세제 등 직접적인 지원제도의 확충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유환익 한경연 상무는 “리쇼어링은 주력 제조업의 침체에 따른 투자 및 고용 위축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라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의 비싼 인건비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한 기업환경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류종은 자동차/항공 전문기자 rje31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