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준의 어퍼컷]애니콜, 옴니아 그리고 '갤럭시F'

Photo Image

삼성 스마트폰 사업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적어도 전성기는 지났다고 봤다. 잘나가는 반도체와 오버랩 되면서 심증은 거의 확증으로 굳어졌다. 이유는 많다. 시장이 쪼그라들었다. 중국도 발목을 잡았다. 소비자 사용 패턴도 바뀌었다. 제품 상향평준화로 교체 주기도 길어졌다. 구구절절하지만 근거 있다. 따져보면 모두 외부 변수다. 한마디로 환경이 바뀌었으니 힘들어졌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레드오션 시장에서 잘나가는 기업은 어떻게 설명할까.

정작 어둡게 본 배경은 딴 데 있다. 바로 '자취를 감춘' 혁신 때문이었다. 삼성 스타일이 어느 순간 사라졌다. 그나마 최근 나온 갤럭시노트9에 탑재한 블루투스 기반 'S펜' 정도가 눈에 들어왔다. 삼성이 자랑하는 듀얼 카메라, 이모지, 지문인식 등은 이미 세상에 있던 기능이었다. 삼성 특유의 도전 정신을 확인할 만한 혁신이 보이지 않았다.

10년 전에도 그랬다. 2007년에 애플은 '아이폰'을 출시하며 스마트폰 시대를 알렸다. 당시 삼성 대항마가 '옴니아'였다. 애플보다 1년 늦었고, 이듬해 '옴니아2'로 대응했다. 결과는 익히 아는 대로 대참패였다. 모양만 스마트폰이라는 혹평을 들었다. 아이폰 이전에 삼성은 피처폰 절대 강자였다. 옴니아는 삼성 입장에서 치욕이었다.

'옴니아 쇼크'로 삼성은 기나긴 동면에 들어갔다. 피처폰이지만 애니콜 당시 선보인 이메일, 블루투스, 동영상과 사진 촬영 같은 첨단 기능은 더 이상 찾기 힘들었다. 모험을 꺼렸기 때문이다. 기나긴 3년 겨울잠이었다. 2010년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갤럭시S를 내놓고 재기에 성공했다. 대화면에 전자펜을 도입한 노트로 '패블릿 붐'을 일으키며 스마트폰 대형화를 주도했다. 결국 '갤럭시 왕국'을 구축, 1위 애플을 권좌에서 끌어내렸다.

삼성 스마트폰이 왜 다시 주춤해졌을까. 추측건대 배터리 폭발 사건이었다. 2016년 갤럭시 노트7 발화가 결정타였다. 생산을 중단하고 대국민 사과와 함께 10개 나라에서 250만대 전량을 리콜했다. 잘 나가던 삼성으로서는 충격이었다. '배터리 쇼크'는 후폭풍이 컸다. 모험정신은 사라지고 안정 모드로 돌아섰다. 혁신이 사라진 스마트폰은 시장이 먼저 눈치 챘다. 조용히 권좌에서 내려올 일만 남았다고 판단했다.

이달 초 삼성은 폴더블 형태 '갤럭시F'를 공개했다. 기대 이상이었다. 혁신적이었다. 이보다 앞서 공개한 중국 업체와 180도로 달랐다. 디스플레이, 배터리, 소재, 반도체칩 등 모든 스마트폰 요소가 바뀌는 대전환이라는 언급이 빈말로 들리지 않았다. 주요 외신도 '스마트폰 미래'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혁신이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삼성 특유의 모험 정신이 되살아난 것이다.

삼성은 1988년 'SH-100'을 내놓고 휴대폰 사업에 뛰어들었다. 올해로 30년 역사다. 누가 뭐래도 삼성 휴대폰은 반도체와 대한민국 브랜드를 세계에 알린 주역이다. 10년마다 판도가 바뀌는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에서 흔치 않은 기록이다. 고비고비 난관이 있었고, 부침도 많았다. 옴니아 쇼크, 배터리 사태 모두 위기였지만 결국 이겨냈다. '갤럭시F' 성공 여부는 아직 모른다. 제품이 나와 봐야 한다. 내년 출시되면 배터리 폭발 사고 이후 3년 만이다. 공교롭게도 옴니아 쇼크에서 재기하던 시기와 비슷하다. 또 한 번 반전을 기대한다. 삼성 스타일의 혁신을 보았기 때문이다. 세계무대에서 시원한 어퍼컷을 날리기 바란다.


전자산업/정책 총괄 부국장 bjk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