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연령인구 작년 첫 감소…'고령사회' 공식 진입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우리나라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처음 감소했다. 심각한 저출산으로 생산연령인구는 앞으로 더 빠르게 감소할 전망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처음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공식 진입했다.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넘어가는데 걸린 시간은 일본(24년)보다 짧은 17년에 불과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6년 3631만명에서 2017년 3620만명으로 11만명 줄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한 것은 1949년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생산연령인구는 고용 측면을 고려해 의무복무군인·수감자 등을 제외한 생산가능인구보다 범위가 큰 개념이다.

지난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2%(712만명)를 넘어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00년 처음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후 17년 만이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 빠른 수준이다.

양동희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가 된 후 1994년 고령사회로 진입하기까지 24년 걸렸지만 우리나라는 17년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고령인구가 크게 늘어난 반면 유소년인구(0~14세)는 2016년 677만명에서 2017년 663만명으로 줄었다. 2016년 처음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추월(격차 1만명)한데 이어 2017년에는 수치가 49만명까지 벌어졌다. 최근 저출산이 지속되고 있어 이런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질 전망이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인구는 5142만명으로 2016년 5127만명보다 15만명(0.3%) 늘었다. 내국인이 4994만명, 외국인이 148만명이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2552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49.6%)을 차지했다.

우리나라 총가구는 2017만가구로, 2016년 1984만가구보다 33만가구(1.7%) 증가했다. 총가구가 2000만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인가구 비율은 28.6%를 기록, 가장 비중이 컸다. 1인가구 비중이 최고를 기록한 것은 2015년(27.2%)이 처음이다. 2016년 27.9%, 지난해 28.6%로 지속 확대됐다. 2인가구는 26.7%, 3인가구 21.2%, 4인가구는 17.7%, 5인이상 가구는 5.8% 순이다.

통계청은 “2016년과 비교해 1인가구는 0.7%포인트(P), 2인가구는 0.6%P 증가했다”며 “반면 3인가구는 0.2%P, 4인가구는 0.7%P, 5인이상은 0.4%P 각각 감소했다”고 밝혔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