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3D프린팅, 산업을 키울 때

중소기업중앙회가 3D프린터 중기간경쟁제품 품목 지정 여부를 논의하는 조정회의를 오늘부터 시작한다. 조정회의는 9월초까지 진행된다. 최종안은 중기벤처기업부에 전달되고 연내 중기간경쟁제품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결정되면 시행은 내년 1월 1일부터다. 최종 결정은 중기부 몫이다.

지정 여부를 놓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찬성하는 측은 국내 3D프린팅 기업 영세성을 감안해 중소기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논리다. 반대 측은 3D프린터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참여기업 규모를 중소기업으로 제한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한쪽은 중소기업 육성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은 아직은 신성장산업 육성 가치를 더 중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3D프린팅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생태계가 구축된 상태라면 산업 측면과 중소기업 육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 묘수가 있을 법한 사안이다. 하지만 현실은 좀 다르다. 초기 성장 단계인 3D프린터를 중소기업간에 경쟁하는 제품으로 지정하면 대·중견기업은 이 산업에 더 이상 매력을 느끼지 못할 것이고, 국내 3D프린팅산업은 신산업으로 성장할 기회를 잃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국내 3D프린팅 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 경쟁력 또한 약화될 것이다.

3D프린팅 산업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첨단 산업군에 속한다.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과 기술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산업이다. 3D프린팅 산업을 4차 산업혁명 핵심 가운데 하나로 꼽는 이유기도 하다.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산업에 대해서는 중기간경쟁제품 품목 지정시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섣부른 결정으로 자칫 글로벌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몇 년 후 가까운 미래에 세계 각국에서 쏟아지는 최첨단 3D프린팅 기술과 생태계 산업을 외신을 통해 접하며 후회할 수 있다. 아직은 3D프린터를 조립과 유통 산업 관점에서 볼 때가 아니다. 혁신 기술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3D프린팅 산업을 키워야 할 때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