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한국당 TK서도 고전...민주당 약진

자유한국당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참패에 가까운 성적에 그쳤다. 민심은 철저하게 외면했고, 사실상 지역정당으로 전락했다.

광역단체장을 사수한 TK(대구경북)에서도 여당과 무소속에 위협을 받았다.

Photo Image

전국을 휩쓴 더불어민주당은 TK에서도 선전했다.

이번 선거 개표결과, 한국당은 전국 17개 광역단체장 가운데 대구시장과 경북지사만 배출했다.

홍준표 대표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제시한 '6곳+알파(α)'라는 목표는 '공허한 외침'이 돼 버렸다. 현직 광역단체장 6개도 수성하지 못했다.

대구·경북의 승리도 압승은 아니었다. 대구와 경북에서 민주당 임대윤 후보와 오중기 후보는 각각 30%대 득표율을 기록하며 한국당 후보를 위협했다.

대구는 4년 전인 2014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의 김부겸 후보가 40.3%를 얻은 데 이은 또 한 번의 사실상 40% 득표다. 민주당의 당세가 확장하고 있다.

경북에서 민주당의 약진은 더욱 두드려졌다. 오중기 후보가 4년 전 새정치민주연합 간판을 달고 경북지사 선거에 나섰을 때만 해도 14.9% 얻는 데 만족했다. 이번에는 그보다 두 배 이상의 득표력을 보였다.

지난 1995년 첫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진 이후 단 한 차례도 민주당에 자리를 내주지 않았던 부산·울산·경남(부울경) 모두를 민주당에 내줬다. 부울경 역시 한국당의 전통 텃밭이었다.

홍준표 대표가 두 번 큰절을 하고, 후보들이 '한번더 기회를 달라'고 읍소했으나 모두 외면당했다.

이철우 후보가 경북지사 선거에 나서면서 보궐선거가 치러진 경북 김천은 송언석 후보가 무소속 최대원 후보를 눌렀다. 다만 득표율에서 1%포인트(P) 차이도 나지 않은 진땀승리였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