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프표준화기구(GSO)와 걸프협력회의(GCC) 개별 국가가 공산품 인증 제도를 강화해 사실상 무역장벽으로 작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중동 지역에 공산품을 주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은 철저한 대비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KOTRA(사장 권평오)는 26일 발간한 'GCC 및 이란 중소기업 수출유망품목과 주요 인증제도' 보고서에서 GSO의 G-Mark 통합인증,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개별 국가 인증 및 최근 역내 기술 규정 도입 현황을 소개하며 대응 강화를 주문했다.
GSO는 GCC 6개국(UAE, 사우디,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에 예멘이 포함된 안전, 효율제도 통합 운영기관이다.
GCC 등 중동지역 국가는 대부분 석유·화학 산업 외에 제조업 발달이 미약해 공산품을 주로 수입에 의존했다. 우리나라도 해당 지역 주요 수출품목이 공산품에 집중됐다. 가전제품, 자동차배터리, 화장품 등 20개 주요 공산품 2016년 대GCC 수출액은 66억달러(약 7조원)로 전체 수출 절반을 차지한다.
중동지역 국가는 최근 소비자 안전 등 글로벌 표준에 맞춰 공산품 기술 규제를 강화했다. UAE 표준청(ESMA)은 2014~016년 전기·전자 제품군 관련 84개 등 총 277개 기술 규정을 도입, 3년 새 강제 규정이 37.6% 증가했다.
GSO는 2016년 한해에만 총 363개 기술 규정을 도입했다. 저전압기기 및 장난감 관련 G-Mark 인증 취득이 강제화 됐다.
강화되는 기술 규정은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한 역내 산업 다각화, 국내 산업 육성 정책과 맞물리며 우리 수출 기업에 사실상 무역기술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KOTRA가 GCC 6개국 및 이란 현지 바이어 및 우리 수출기업 68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약 33%가 수입 절차 진행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인증'을 꼽았다. 응답자 가운데 29%가 인증 관련 정보 부족을, 23%가 인증 취득 소요 시간, 14%가 현지 대리인 선임 요건을 주된 애로 요인으로 지적했다.
UAE나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GSO 통합인증 G-Mark 외에도 국가 인증 취득을 별도로 요구한다. UAE 표준청은 올해 3월 개최한 공청회에서 해당 상품에 G-Mark 로고 부착시 UAE 적합성 인증(ECAS) 로고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지만 여전히 각각 인증서 취득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당분간은 이중 부담은 지속될 전망이다.
현지 국가 정책 추진 특성상 특정 인증 도입 결정부터 시행까지 시간차가 짧은 점도 문제다. UAE는 표준청에서 매년 이해관계자 대상 신규 규제 관련 공청회 개최하나 이마저도 도입에 임박한 시점일 때가 많다. 수출 기업 입장에서는 충분한 준비 기간을 갖기 어렵다.
지난해는 UAE 표준청이 에너지효율라벨과 RFID 통합태그 부착을 의무화하면서 태그 대란이 나기도 했다. 시행을 약 두 달여 앞두고 공지를 한데다 표준청 지정 현지 업체에서 생산한 RFID 칩 사용을 규정했기 때문이다.
권용석 KOTRA 중동지역본부장은 “인증 취득을 위한 짧은 준비기간과 긴 소요기간, 일반화된 현지 에이전시 활용 관행 등을 고려하면 현지 에이전트와의 긴밀한 공조체계가 필요하다”면서 “신속한 정보 제공과 함께 유망 에이전트 검증 및 주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