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친환경, 젊어지는 산업단지](하)청정제조로 깨끗한 산업단지

그동안 산업단지에는 환경오염이라는 꼬리표가 붙었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배출물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이제 산업단지도 효율성을 넘어 깨끗하게 제품을 생산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기후체제 출범으로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커진 것에 따른 대비도 중요해졌다. 그동안 생태산업단지(EIP) 모델로 친환경 제조의 가능성을 모색한 산업단지는 재자원화사업을 통해 청정제조 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005년부터 생태산업단지(EIP) 조성사업으로 친환경 산업단지 가능성을 타진했다. EIP 사업은 산업단지 내 제조업체끼리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한 공장에서 발생한 폐열 등 에너지를 다른 기업에서 재활용하는 것으로 자원 효율성을 높였다. 2016년까지 총 105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산업단지간 자원순환 네트워크를 구축, 비용과 환경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Photo Image
생태산업단지 사업이 추진됐던 울산온산국가산업단지 전경.

산업단지공단은 지난해부터 EIP의 뒤를 이을 사업으로 '산업단지 온실가스 저감 재자원화 실증'을 하고 있다. 기 확보된 기술 중 에너지·자원 효율성이 높은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EIP와 달리 친환경 제조 기반 구축과 함께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성과 달성도 목표로 삼고 있다.

산업단지 내 많은 중소기업은 법·제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사각지대에 있다. 규모가 작아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및 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신기후체제에서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7%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 중소 제조업의 온실가스 감축이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단지공단은 재자원화 실증으로 중소기업의 청정 제조 기반을 구축하고 국가적으로 온실가스도 줄인다는 구상이다.

지원 대상은 폐열회수·에너지설비 효율개선·교체 등 에너지 효율화와 바이오매스·폐기물 연로 전환 등 화석연료 대체다. 온실가스 및 에너지 감축 효과가 크고 기술성이 우수해 다수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한다. 초기 투자비에 부담을 느끼는 사업자를 위한 렌탈 서비스도 지원한다. 정부와 전문기업이 1:1 매칭으로 초기 시설자금을 지원하고 적용기업은 월 비용을 지불한다.

신규사업임에도 산업단지 입주기업 반응은 뜨겁다. 초기 인식 부족으로 기업참여가 저조했지만 홍보가 시작되면서 기업 신청이 줄을 이었다. 예산 대비 192%를 초과하는 규모로 신청됐다. 2차례 사업공모에서 총 105개 과제가 접수됐다. 예산 배정이 늦었음에도 3차례 과제 평가를 통해 61개 과제를 선정하고 협약체결을 완료했다. 국비 100% 소진 예정이다.

올해는 유사사업과 통합 추진으로 예산이 늘어나 안정적 사업추진 기반이 마련된다. 국회 예산정책처 권고에 따라 한국에너지공단의 '산업단지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 지원사업'과 통합 추진된다.

EIP 사업 때부터 거둔 성과로 친환경 산업단지 모델의 수출 가능성도 열리고 있다. 지난해 9월 터키 정부에 EIP 모델이 소개된 이후, 터키는 자국 산업단지 개선 용도로 월드뱅크의 차관 3억달러를 신청했다. 올해 4월에는 우리나라에 방문에 EIP 구축 협력을 추진한다.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통령 방중기간에는 한-중 생태산업개발 협력 MOU가 체결되기도 했다.

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EIP 사업이 일몰되면서 그간의 성과를 연계·활용할 수 있는 대체 사업이 필요하다”며 “재자원화 사업을 통해 에너지 효율화 기술 보급을 확산하고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과 일자리 확산 등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