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를 유지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채소·수산물 가격이 껑충 뛰며 서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실제보다 높았다는 평가다. 정부는 채소류 가격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프랜차이즈 분야 등의 물가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1.4% 올랐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7~9월 2%대를 보이다 10월 1.8%로 떨어진 후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1%대를 기록했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물가에 높고 낮음의 기준은 없지만 작년 10월부터 1%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민이 느끼는 물가는 실제 수치보다 높았다는 평가다. 구입빈도·지출비중이 높고 가격변동에 민감한 품목의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대비 1.4% 올랐고,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11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하다가 2월 증가로 전환(4.3%)했다.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두드려졌다. 지난해 동월 대비 농축수산물 가격은 1월 0.6% 떨어졌지만 2월에 3.5% 올랐다. 작년 9월(4.8%)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이다. 축산물 가격이 하락했지만 수산물 가격 강세가 지속됐고, 한파로 채소류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축산물 가격은 작년과 비교해 1월 〃4.7%, 2월 〃4.1%를 기록했다. 그러나 수산물은 1월 6.0%, 2월 5.0% 올랐다. 채소류는 1월 12.9% 감소했다가 2월 3.5% 증가로 돌아섰다. 품목별로는 고춧가루(전년동월대비 44.0% 상승), 오징어(34.9%), 호박(45.5%) 등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외식비 인상은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 작년 12월 2.7% 올라 1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데 이어 1월과 2월 모두 2.8% 상승했다. 외식비는 최저임금 변화에 민감한 대표 분야다. 그러나 통계청은 이번 수치가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윤성 과장은 “외식비는 보통 1~2월에 상승하는데 올해는 과거와 유사한 수준”이라며 “식재료비 등이 복합 작용하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물가는 일부 품목 가격 강세에도 석유류 가격 상승세 둔화, 축산물 가격 안정 등으로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격 강세를 보이는 일부 채소류는 수급·가격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생육관리를 강화한다.
기재부는 개인서비스 물가 안정을 위해 소비자단체와 연계해 물가 감시를 강화한다. 상반기에 소비자단체가 프랜차이즈(김밥, 치킨 등)의 가격인상 요인을 분석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일자리 안정자금 등 소상공인 지원 대책 이행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장보영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외식 부문에서 물가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담합이나 가격 편승 인상 등을 사업자 스스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자료:기획재정부, 단위:%)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