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협동로봇과 서비스로봇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논란이 된 협동로봇 안전 규제도 산업 친화형으로 개편한다. 기술 개발과 실제 사업화·상용화를 함께 고려, 로봇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2022년까지 로봇 생산액은 6조7000억원, 후방산업인 부품의 국산화율은 60%까지 높인다.
전 세계로도 아직 개화기에 있는 협동로봇은 스마트팩토리 수요와 연계해 체계화해서 키운다. 선도국에 비해 뒤처진 감은 있지만 아직 많은 기회가 상존하고 있는 시장이다. 4차 산업혁명 기반인 스마트팩토리 분야는 쓰임새에 따르는 다양한 형태의 협동로봇 개발이 필요하다. 중소제조업종에 협동로봇 50대를 시범 보급, 공정에서 효율성이 검증된 분야를 일선에 투입한다.
서비스로봇 개발·보급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상용화 사업으로 스마트홈, 의료·재활, 재난·안전, 무인 이송, 농업용 로봇 등 5개 분야를 선정했다. 서비스로봇은 수요업체와 공급업체 간 커뮤니케이션이 전제돼야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주요 수요처에 시범 도입,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면서 납품을 지원한다.
전통 제조업에 강하고 첨단 서비스 수요를 갖춘 우리나라의 로봇 시장은 제법 큰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 산업, 특히 로봇 핵심 부품의 경쟁력은 선도국에 비해 취약, '껍데기만 국산'이라는 지적을 받아 왔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부품 연구개발(R&D) 지원 비중을 높여 국산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한국 로봇 산업은 일본과 중국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꼭 4차 산업혁명이 아니라 하더라도 로봇 산업은 미래 비즈니스와 융합, 다양한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첨단 분야다. 포기하기엔 잃는 것이 너무 많다. 우선 추격 가능한 협동로봇과 일부 서비스로봇 분야를 앞세워 틈새시장을 공략하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급선무다. 한국 산업계는 '패스트팔로를 넘어 퍼스트무버로 가야 한다'는 말을 흔히 듣는다. 그러나 로봇 산업은 아니다. 아직은 패스트팔로마저도 절실하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데이터 시대의 전략적 선택, 엣지 AI
-
2
[ET시론] 2025년을 준비하는 로봇 산업
-
3
[ET톡] 경계해야 할 중국 반도체 장비 자립
-
4
[ET대학포럼] 〈202〉저성장 한국 제조업, 홍익인간에서 길을 찾다
-
5
[사설]국회 '반도체 특별법' 논의 속도 내야
-
6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5〉일자리 문제는 시간 싸움
-
7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1〉CES 2025가 보여 줄 'AI 비즈니스 혁신' 3가지
-
8
[GEF 스타트업 이야기] 〈54〉한 없이 절망 했고, 한 없이 기뻤다
-
9
[인사] 신한카드
-
10
[사설] 트럼프 2기 산업 대비책 힘 모아야
브랜드 뉴스룸
×